당권투쟁 넘어 정책논쟁 관심
이른바 ‘민주당 대주주’ 가운데 한 명으로, 비주류의 대표주자인 정동영 의원이 ‘보편적 복지’를 전면에 내세울 것을 주문하는 등 민주당의 정책적 좌표를 좀 더 왼쪽으로 이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한겨레> 기자와 만나 “6·2선거 이후 국민들은 민주당이 ‘야당 같은 야당’ 이 되길 바라고 새로운 정체성과 노선을 정립하길 원한다”며 “이제 민주당은 ‘중도진보’ 노선에서 ‘중도’라는 꼬리표를 떼고 ‘담대한 진보’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현행 정세균 대표 체제의 정책적 노선보다 좀 더 ‘좌클릭’할 것을 주문한 셈이다. 정 의원이 이처럼 ‘민주당 노선의 진보화’를 주창하고 나선 것은 전당대회를 통해 가치와 정책을 둘러싼 논쟁을 제대로 한번 해보자는 ‘발제’ 성격이 있는 것 같다. 이와 동시에 자신에게 붙은 ‘비주류 수장’이라는 꼬리표를 떼고 당내 담론을 적극적으로 주도해가겠다는 생각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 의원은 “친환경무상급식 공약이 큰 관심을 모았던 것에서 알 수 있듯, 우리 사회는 이제 보편적 복지로 첫걸음을 뗐다”며 “우리 당은 ‘민주당=복지당’이란 등식이 성립할 수 있을 정도까지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전당대회 전에 이에 대해 치열한 논쟁의 장이 펼쳐져야 한다”며 민주당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보편적 복지’를 강조했다.
정 의원은 “이제는 (당권파-비당권파 모두) 자잘한 논쟁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오는 8월 전당대회 출마자들이 당권투쟁 차원을 넘어 가치와 비전, 정책을 놓고 논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6·2지방선거 승리 이후 당의 진로에 대한 논쟁이 국민적 공감대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정 의원은 자신이 몸담고 있는 당내 비주류 모임 ‘쇄신연대’(가칭)도 변화해야 한다고 짚었다. 그는 “최근 쇄신연대가 문제제기를 하는 방식도 달라져야 한다”며 “쇄신연대 내부에서 이젠 당권파-비당권파 싸움을 극복하고 가치논쟁을 하자고 제안하겠다”고 말했다. 쇄신연대는 최근 정세균 대표 사퇴, 임시지도부 구성, 집단지도체제 도입 등 당내 현안을 놓고 당 지도부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