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혁신과 통합’, 한국노총,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진보통합시민회의 대표자들과 창조한국당 일부 의원 등이 20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진보통합정당 건설을 위한 대표자 연석회의’에 앞서 손을 맞잡은 채 기념사진을 찍은 뒤 자리로 향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민주당 조배숙 최고위원, 김진표 원내대표, 정동영 최고위원, 문재인 ‘혁신과 통합’ 상임대표, 손학규 민주당 대표,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 최병모 복지국가소사이어티 공동대표, 이해찬 전 총리, 정세균 민주당 최고위원, 송영오 전 창조한국당 대표.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당원·국민 동등조건 참여
지역구는 국민경선 원칙
비례는 시민·노동몫 배려
지역구는 국민경선 원칙
비례는 시민·노동몫 배려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 한국노총, 시민사회가 참여해 다음달 17일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는 ‘민주진보시민통합정당’(가칭) 지도부는 당원과 국민이 함께 참여하는 ‘박원순식 경선’을 거쳐 선출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진보 및 시민노동 통합정당 출범을 위한 대표자 연석회의’는 20일 국회에서 첫 모임을 열고, “민주당원 및 시민, 노동, 진보세력이 골고루 참여하는 혁신과 통합을 지향한다”며 “지도부 구성과 공직후보 결정에 이러한 정신을 반영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범야권이 박원순 후보를 서울시장 후보로 선출했을 때처럼 당원과 시민이 동등한 조건에서 참여할 수 있는 규칙을 만든다는 뜻이다. 연석회의는 또한 총선 공천과 관련해서는 “지분 나누기는 없으며, 지역구는 국민경선을 원칙으로 한다”면서도 “새로운 참여세력을 적극적으로 배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례대표와 전략공천 지역에 시민·노동사회 몫을 배정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연석회의는 주요 정당·단체가 참여하는 통합추진소위를 꾸려 21일부터 정강·정책, 당헌·당규 등을 협의하기로 했다. 늦어도 27일까지는 지도부 구성 등 논의를 마무리짓고 창당준비위를 구성해 다음달 17일까지는 통합정당을 출범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날 연석회의에는 손학규 대표 등 민주당 최고위원단, 이해찬 전 총리와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 ‘혁신과 통합’의 상임대표단, 한국노총 대표단, 그리고 진보통합시민회의, 복지국가소사이어티, 민주평화복지포럼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밖에도 박원순 서울시장과 김두관 경남지사를 대신해 김형주 정무부시장과 허성무 정무부지사가 참석했고, 창조한국당과 민주노총 사무금융노조 전·현직위원장 모임도 함께해, 참석자는 모두 24명에 이르렀다. 주요 정치세력 지형에서 보면 통합진보정당과 진보신당을 뺀 나머지 야권의 총체적 모임에 가까운 규모다.
관건은 민주당 내부 정리다. 손학규 대표와 정동영 최고위원 등 지도부의 ‘완전개방형 통합전대론’과 박지원 의원 등의 ‘민주당 독자전대 우선론’ 의 갈등은 아직 해소되지 않고 있다. 박 의원은 20일 “통합·연합을 반대하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 (하지만) 전당대회만은 모든 당원이 합의를 해야 하는 것”이라며 “12월17일 오전 (민주당 별도의) 전당대회에서 사실상 모든 게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통합전당대회에 앞서 민주당 전당대회를 별도로 열어 통합을 의결하고 새 지도부를 꾸려야 한다는 얘기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