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의 프레임 깨고 민주통합당 정권 만들겠다” 밝혀
2위 김두관 후보 40%p 앞서…손학규·정세균 후보 3, 4위
누적득표율 2위 손 후보와 25%p 차이 본선 직행 가능성
2위 김두관 후보 40%p 앞서…손학규·정세균 후보 3, 4위
누적득표율 2위 손 후보와 25%p 차이 본선 직행 가능성
민주통합당의 대선 후보 경선이 종반전으로 접어든 가운데 문재인 후보가 8일 자신의 지역구(부산 사상구)가 있는 부산 경선에서 1만8135표(득표율 66.2%)를 얻어 파죽의 9연승을 이어갔다. 또한 누적 득표율에서도 49.10%(11만3948표)로 과반득표에 바싹 다가서며 본선 직행의 가능성을 열었다.
문 후보는 이날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부산 경선에서 선거인단 유효투표 2만7371표(투표율 62.53%) 가운데 과반수를 훨씬 넘는 66.2%(1만8135표)를 얻어 21.58%(5907표)에 그친 김두관 후보를 40% 포인트 이상 앞서는 압도적 승리를 거머쥐었다. 이어 손학규 후보가 9.96%(2726표), 정세균 후보가 2.20%(603표)를 득표했다.
문 후보는 이날 부산 승리에 힘입어 누적득표에서도 전체 23만2072표 가운데 11만3948표(49.10%)로 과반에 바짝 다가섰다. 누적득표 2위인 손 후보(24.06%, 5만5839표)와의 차이는 25% 포인트로 벌어졌다. 결선 투표 여부는 선거인단이 가장 많은 경기(15일)와 서울(16일) 경선 등 수도권에서 판가름이 날 것 같다. 3위 김 후보는 19.11%(4만4342표), 4위 정 후보는 7.73%(1만7943표)를 기록했다.
문 후보는 부산 경선 결과 발표 이후 “기대보다 많이 이겨서 한편으로 기쁘고 한편으로 다른 후보님들께 조금 미안한 생각도 든다. 아직 수도권이 남아있기 때문에 갈 길이 멀다.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날 부산에서 각 후보들은 부산이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임을 감안해 ‘노무현 정신’을 강조했다. 누가 진짜 노무현 정신 의 계승자인지를 두고 서로 대립각을 세우기도 했다.
문 후보는 “지금부터라도 경선이 끝난 이후 단결을 이야기하는 경선, 참여해주신 국민께 보람을 드릴 수 있는 경선을 하자는 부탁을 드린다”며 “국민은 민주통합당이 제대로 쇄신만 하면 지지할 준비 돼 있다. 대선 후보가 되면 우리당의 쇄신 방안을 밝히겠다. 노무현 정신이 가치를 넘어 계파가 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분열의 프레임을 깨고 민주통합당 정권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손학규 후보는 문 후보의 이름을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쉬운 지역구에서 편하게 당선되고 낙동강 벨트를 지키겠다고 큰 소리를 뻥뻥 치며 지역 맹주를 자처했다”거나 “입으로는 노무현의 정신과 가치를 계승하겠다면서 실제로는 희생과 헌신을 외면하고 신지역주의에 스스로를 가둬놓고 노무현을 좋아하는 국민의 마음을 인질 삼아 기득권에 연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치 역정을 보면 자신을 포함해 대구와 부산의 어려운 지역에 출마해 선전한 김부겸·김영춘 전 최고위원이 ‘진짜 ’ 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며 지지를 호소했다.
그동안 경선 불공정성 시비와 문 후보에 대한 비판 강도 면에서 손 후보와 차이가 없던 김두관 후보의 연설 기조는 확 바뀌었다. 노 전 대통령과 자신의 삶을 비교하며 진정한 노무현 정신의 계승자는 자신임을 강조하기는 했지만 “여야를 통틀어 모든 후보들이 재벌들의 돈과 인맥에 둘러싸여 자유롭지 않다”며 “재벌개혁과 지방분권을 해낼 적임자인 제가 진짜 노무현 정신의 계승자”라고 말했다.
당 대표 출신인 정세균 후보는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의 처지가 이처럼 위태로운 적이 없었다. 야권 대통합을 한다면서 계파간 나눠 먹기에 골몰했던 이기주의, 4·11 총선에서 공천실패로 새누리당에 승리를 헌납하고 죽어가던 박근혜 대세론을 살려준 무능, 총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뼈를 깎는 반성을 해야 할 당사자들의 오만한 태도가 국민의 불신을 자초하고 대선 후보 경선을 무기력하게 만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부산 경선에는 민주당의 대의원과 당원, 각 후보의 지지자와 시민 1천여명이 참석했다. 모바일 투표 등 경선 불공정 의혹을 제기해온 김두관·손학규 후보의 지지자들은 임채정 선거관리위원장의 개회 선언과 이해찬 대표의 인사말 때 고함과 야유를 퍼붓는가 하면, ‘불공정 모바일 경선을 즉각 중단하고 60년 전통 민주당원 권리를 회복하라’는 현수막을 펼쳐보이기도 했다. 일부 지지자들은 문 후보가 연설하는 중간에도 “고마 해라”(그만 하라), “단디 해라”(제대로 하라)며 소리치는 등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날 부산 지역 투표율은 총 선거인단 4만3773명(모바일투표 3만 8532명, 투표소투표 4485명, 대의원투표 756명) 가운데 2만7371명이 투표해 62.53%에 그쳤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1보] 문재인 후보, 부산 경선 승리할듯…득표율 ‘관심’
누적 득표율 ‘과반수’ 영향 미칠까? 5시 결과 발표 예정 민주통합당의 대선 후보 경선이 종반전으로 접어든 가운데 문재인 후보가 8일 자신의 지역구(부산 사상구)가 있는 부산 경선에서도 승리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문 후보가 어느 정도의 득표를 할지, 부산 경선 결과가 누적 득표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칠지가 관심거리다. 문 후보는 지난 6일 광주·전남 경선까지 8연승을 이어가 누적 득표에서 9만5813표(득표율 46.8%)로 1위를 달리고 있다. 부산이 문 후보의 지지세가 강한 지역임을 고려하면 2위 손학규 후보(5만3113표, 25.9%)와의 차이가 더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3위 김두관 후보는 현재 3만8435표(18.8%)를, 4위 정세균 후보는 1만7340표(8.5%)를 기록중이다. 문 후보는 이날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합동연설회에서 “지금부터라도 경선이 끝난 이후 단결을 이야기하는 경선, 참여해주신 국민께 보람을 드릴 수 있는 경선을 하자는 부탁을 드린다”며 “국민들은 민주통합당이 제대로 쇄신만 하면 지지할 준비 돼 있다. 대선 후보가 되면 우리 당의 쇄신 방안을 밝히겠다. 노무현 정신이 가치를 넘어 계파가 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분열의 프레임을 깨고 민주통합당 정권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2위 손학규 후보는 문 후보의 이름을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그를 겨냥해 “쉬운 지역구에서 편하게 당선되고 낙동강 벨트를 지키겠다고 큰 소리를 뻥뻥치며 지역맹주를 자처했다”거나 “입으로는 노무현의 정신과 가치를 계승하겠다면서 실제로는 희생과 헌신을 외면하고 신지역주의에 스스로를 가둬놓고 노무현을 좋아하는 국민들의 마음을 인질삼아 기득권에 연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치 역정을 보면 자신을 포함해 대구와 부산의 어려운 지역에 출마해 선전한 김부겸·김영춘 전 최고위원이 ‘진짜 ’ 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며 지지를 호소했다. 그동안 경선 불공정성 시비와 문 후보에 대한 비판 강도 면에서 손 후보와 차이가 없던 김두관 후보의 이날 연설 기조는 확 바뀌었다. 노 전 대통령과 자신의 삶을 비교하며 진정한 노무현 정신의 계승자는 자신임을 강조하기는 했지만 “여야를 통틀어 모든 후보들이 재벌들의 돈과 인맥에 둘러싸여 자유롭지 않다”며 “재벌개혁과 지방분권을 해낼 적임자를 지지해달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집권을 하면 지방분권을 위한 개헌을 하겠다”고 공약했다. 당 대표 출신인 정세균 후보는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의 처지가 이처럼 위태로운 적이 없었다. 야권 대통합을 한다면서 계파간 나눠먹기에 골몰했던 이기주의, 4·11 총선에서 공천실패로 새누리당에 승리를 헌납하고 죽어가던 박근혜 대세론을 살려준 무능, 총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뼈를 깎는 반성을 해야 할 당사자들의 오만한 태도가 국민의 불신을 자초하고 대선 후보 경선을 무기력하게 만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부산 경선에는 민주당의 대의원과 당원, 각 후보의 지지자와 시민 1천여명이 참석했다. 모바일 투표 등 경선 불공정 의혹을 제기해온 김두관·손학규 후보의 지지자들은 임채정 선거관리위원장의 개회 선언과 이해찬 대표의 인삿말 때 고함과 야유를 퍼부었다. 일부 지지자들은 문 후보가 연설하는 중간에도 “고마 해라”(그만 하라), “단디 해라”(제대로 하라)며 소리치는 등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부산 경선 선거인단은 4만3773명으로 이 가운데 모바일투표가 3만8532명, 투표소투표 4485명, 순회투표 756명이다. 투표 결과는 오후 5시께 발표될 예정이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노숙소녀 살인사건 7명이 거짓 자백을 했다, 왜?
■ 김기덕, 베니스 황금사자상 받고 “아리랑 아리랑~”
■ 벼룩시장서 50달러에 산 그림이 르누아르 진품 ‘대박’
■ ‘나체 파티’ 영국 해리왕자, 헬기조종사로 아프간 파견
■ 나는 대한민국 제1호 외국인 주모다!
■ 그가 홍대 앞에서 작품을 발기발기 찢은 이유
■ [화보] 알록달록 색 입은 가을
[1보] 문재인 후보, 부산 경선 승리할듯…득표율 ‘관심’
누적 득표율 ‘과반수’ 영향 미칠까? 5시 결과 발표 예정 민주통합당의 대선 후보 경선이 종반전으로 접어든 가운데 문재인 후보가 8일 자신의 지역구(부산 사상구)가 있는 부산 경선에서도 승리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문 후보가 어느 정도의 득표를 할지, 부산 경선 결과가 누적 득표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칠지가 관심거리다. 문 후보는 지난 6일 광주·전남 경선까지 8연승을 이어가 누적 득표에서 9만5813표(득표율 46.8%)로 1위를 달리고 있다. 부산이 문 후보의 지지세가 강한 지역임을 고려하면 2위 손학규 후보(5만3113표, 25.9%)와의 차이가 더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3위 김두관 후보는 현재 3만8435표(18.8%)를, 4위 정세균 후보는 1만7340표(8.5%)를 기록중이다. 문 후보는 이날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합동연설회에서 “지금부터라도 경선이 끝난 이후 단결을 이야기하는 경선, 참여해주신 국민께 보람을 드릴 수 있는 경선을 하자는 부탁을 드린다”며 “국민들은 민주통합당이 제대로 쇄신만 하면 지지할 준비 돼 있다. 대선 후보가 되면 우리 당의 쇄신 방안을 밝히겠다. 노무현 정신이 가치를 넘어 계파가 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분열의 프레임을 깨고 민주통합당 정권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2위 손학규 후보는 문 후보의 이름을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그를 겨냥해 “쉬운 지역구에서 편하게 당선되고 낙동강 벨트를 지키겠다고 큰 소리를 뻥뻥치며 지역맹주를 자처했다”거나 “입으로는 노무현의 정신과 가치를 계승하겠다면서 실제로는 희생과 헌신을 외면하고 신지역주의에 스스로를 가둬놓고 노무현을 좋아하는 국민들의 마음을 인질삼아 기득권에 연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치 역정을 보면 자신을 포함해 대구와 부산의 어려운 지역에 출마해 선전한 김부겸·김영춘 전 최고위원이 ‘진짜 ’ 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며 지지를 호소했다. 그동안 경선 불공정성 시비와 문 후보에 대한 비판 강도 면에서 손 후보와 차이가 없던 김두관 후보의 이날 연설 기조는 확 바뀌었다. 노 전 대통령과 자신의 삶을 비교하며 진정한 노무현 정신의 계승자는 자신임을 강조하기는 했지만 “여야를 통틀어 모든 후보들이 재벌들의 돈과 인맥에 둘러싸여 자유롭지 않다”며 “재벌개혁과 지방분권을 해낼 적임자를 지지해달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집권을 하면 지방분권을 위한 개헌을 하겠다”고 공약했다. 당 대표 출신인 정세균 후보는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의 처지가 이처럼 위태로운 적이 없었다. 야권 대통합을 한다면서 계파간 나눠먹기에 골몰했던 이기주의, 4·11 총선에서 공천실패로 새누리당에 승리를 헌납하고 죽어가던 박근혜 대세론을 살려준 무능, 총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뼈를 깎는 반성을 해야 할 당사자들의 오만한 태도가 국민의 불신을 자초하고 대선 후보 경선을 무기력하게 만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부산 경선에는 민주당의 대의원과 당원, 각 후보의 지지자와 시민 1천여명이 참석했다. 모바일 투표 등 경선 불공정 의혹을 제기해온 김두관·손학규 후보의 지지자들은 임채정 선거관리위원장의 개회 선언과 이해찬 대표의 인삿말 때 고함과 야유를 퍼부었다. 일부 지지자들은 문 후보가 연설하는 중간에도 “고마 해라”(그만 하라), “단디 해라”(제대로 하라)며 소리치는 등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부산 경선 선거인단은 4만3773명으로 이 가운데 모바일투표가 3만8532명, 투표소투표 4485명, 순회투표 756명이다. 투표 결과는 오후 5시께 발표될 예정이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노숙소녀 살인사건 7명이 거짓 자백을 했다, 왜?
■ 김기덕, 베니스 황금사자상 받고 “아리랑 아리랑~”
■ 벼룩시장서 50달러에 산 그림이 르누아르 진품 ‘대박’
■ ‘나체 파티’ 영국 해리왕자, 헬기조종사로 아프간 파견
■ 나는 대한민국 제1호 외국인 주모다!
■ 그가 홍대 앞에서 작품을 발기발기 찢은 이유
■ [화보] 알록달록 색 입은 가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