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차기 원내대표를 노리는 최경환 의원이 최근 논란이 되는 경제민주화 법안과 개성공단 사태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여권에선 5월로 예정된 차기 원내대표 선거에서 최 의원이 당선될 경우 두 사람은 새누리당 지도부로 서로 협력해야 하는데, 현안에 대한 시각차가 너무 큰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황우여 대표는 30일 <와이티엔>(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경제민주화에 대한 시각을 어떠한 경제를 위축시키는 법이라고 할 것이 아니라 경제를 제대로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중견기업, 중소기업, 소상공인과 같은 데까지 경제의 피가 흐를 수 있도록 해 주는 법이라고 이해를 해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진행을 해야 된다”고 말했다. 경제민주화 법안 입법에 대한 의지를 밝힌 것이다. 황 대표는 “과도한, 급박스러운 충격은 경제가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까 그것은 완급을 조절하면서 해야 한다. 그러나 그 방향을 분명히 해서 꾸준히 해야만 효과가 난다”고 강조했다.
반면, 최경환 의원은 경제민주화 법안이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를 위축시킬 수도 있다는 우려를 주로 전했다. 최 의원은 같은 날 <문화방송> 라디오 인터뷰에서 “너무 과도한 부담을 줘서 경제 자체가 위축이 된다든지 (하면 안 되고) 경제가 잘 되자고 하는 것인데 그런 부분들은 조금 유지해가면서 (경제민주화를) 추진해나가야 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몸에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 좋은 약이라 할지라도 너무 한꺼번에 많이 쓰면 부작용이 난다. 그런 점을 감안해서 한다는 확고한 추진 원칙하에 그런 방법, 식이조절 이런 것들은 충분히 고려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개성공단 가동 중단 사태에 대해서도 두 사람은 입장이 확연히 갈라졌다. 황 대표는 “어떠한 긴박상황이 있다고 하더라도 개성공단은 지켜져야 한다. (개성공단은) 남북 화해와 협력의 상징이기 때문에 대가가 좀 있더라도 유지해야 된다. 조금 더 안전한 경제적 논리에 따를 수 있도록 국제경제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남한이 개성공단에 제공하는 급수 등 에너지에 대해서는 “급수 같은 경우에는 개성의 우리 주민들이 활용하고 있다. 이런 것은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경환 의원은 북한의 태도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 의원은 “개성공단 문제는 참 안타깝다고 생각한다. 북한이 앞으로 국제사회로부터 신뢰를 받으려면 확실하게 북한도 태도변화가 있어야 된다고 하는 점을, 이번 개성공단 사태를 통해서 분명한 메시지를 북한에 전달해야 된다”고 말했다. 물과 전력 공급에 대해서는 “공장을 안 돌리는데 물과 전기가 왜 필요한가? 원칙대로 가는 게 맞다”고 말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국방부 “‘천안함 프로젝트’ 국민 혼란 초래…상영 자제 요청”
■ 종교문제 불만 신학대생 할머니 흉기로 살해
■ 유기견으로 오인해 죽은 ‘개의 위자료’ 청구 가능할까
■ 추신수 2경기 만에 안타
■ [화보] 원세훈 전 국정원장 검찰소환
■ 국방부 “‘천안함 프로젝트’ 국민 혼란 초래…상영 자제 요청”
■ 종교문제 불만 신학대생 할머니 흉기로 살해
■ 유기견으로 오인해 죽은 ‘개의 위자료’ 청구 가능할까
■ 추신수 2경기 만에 안타
■ [화보] 원세훈 전 국정원장 검찰소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