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지도부가 2일 오전 서울 명동 거리에서 여당인 새누리당의 국정원 국정조사 무력화 시도를 비판하는 홍보물을 시민들에게 나눠주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대선개입’ 규탄 원외투쟁 이틀째
※남해박사 : 남재준 해임·박근혜 사과
시청앞 천막에서 비상의원총회
“계속 방관땐 원외투쟁 안끝나”
여론 호소하는 수밖에 없다 판단
의원들, 명동 등서 홍보전단 배포
※남해박사 : 남재준 해임·박근혜 사과
시청앞 천막에서 비상의원총회
“계속 방관땐 원외투쟁 안끝나”
여론 호소하는 수밖에 없다 판단
의원들, 명동 등서 홍보전단 배포
민주당은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등 국기문란 사건 해결을 요구하는 원외투쟁 이틀째인 2일, 남재준 국가정보원장의 해임과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 등을 요구하며 공세의 수위를 높였다. 사건의 ‘핵심 당사자’임에도 강 건너 불 보듯 비켜서 있는 박 대통령을 정면으로 겨냥하면서 ‘결자해지’ 차원에서 국정원을 개혁하라고 압박하기 시작한 것이다.
민주당은 오전 폭우가 쏟아지는 서울시청 앞 광장 천막 상황실에서 최고위원회의와 비상 의원총회를 잇달아 열어, 일제히 박 대통령의 사과와 국정원 개혁, 남재준 원장의 해임 등을 요구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제 대통령의 결단이 임박했다. 민주당은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 진실 규명과 국정원 개혁에 대한 박 대통령의 분명한 입장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양승조 최고위원은 “(국정원 국정조사가 진행중이었는데도) 수수방관 홀로 여름휴가를 떠난 박 대통령의 진심 어린 사과를 촉구한다. 침묵으로, 본 사건의 제3자인 양 입을 다물어버린 박 대통령의 비겁한 방관이 끝나지 않는 한 민주당의 장외투쟁도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용득 최고위원은 “박 대통령은, 아버지가 경제 때문에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짓밟았던 그 역사적 문제를 딸로서 치유하는 국가적 책무가 있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김한길 대표도 1일 밤 <한겨레> 인터뷰에서 “이제는 대통령과 담판이 필요한 시점이 됐다. 여당 대표가 아니라, 대통령만이 지금 상황을 풀 열쇠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가 제안해 여야가 논의하다 결국 불발된 대표회담 정도로는 지금 상황에 대한 ‘해법’을 찾기 어렵다는 취지다. 이에 앞서 김 대표는 6월24일 박 대통령에게 전달한 서한에서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의 진실 규명에 대한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 관련자 엄단과 국정원 개혁 의지를 밝힌다면 상황을 매듭지을 수 있다”고 호소했다는 사실도 공개했다. 그럼에도 박 대통령은 “대선 때 국정원이 어떤 도움을 주지도, (내가) 국정원으로부터 어떤 도움을 받지도 않았다. 나는 관여해오지 않았다”는 말로 국정원 문제에 선을 그었다.
민주당이 박 대통령을 직접 압박하고 나선 것은 지난 대선 기간 국정원의 선거 개입으로 ‘혜택’을 본 당사자가 바로 대통령 자신이라는 인식뿐 아니라, 청와대가 공식적으론 ‘불개입’ 입장을 밝히면서도 실상은 지금의 상황을 주도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 대통령한테서 국정원 개혁을 약속받으려면 여론에 호소하는 수밖에 없다는 게 민주당의 판단이다.
실제로 민주당은 대국민 홍보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이날도 의원들을 6개조로 나눠 서울 명동 롯데백화점 앞, 국가인권위원회 앞 등에서 홍보 전단지를 시민들에게 나눠줬다. 또 원외투쟁의 주요 목적인 남재준 원장의 해임과 박 대통령 사과를 “남해박사”로, 국정원 국정조사 정상화의 조건으로 내건 원세훈 전 국정원장,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의 청문회 불출석 시 동행명령 확약과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 권영세 주중대사의 증인 채택을 “원판김세”로 구호를 만들어 외쳤다. 오후엔 민주당 의원들이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 이명박 전 대통령 등의 역할을 맡아 대선개입 사건을 규명하는 모의 국정조사를 열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조혜정 하어영 기자 zesty@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한길 대표 “박 대통령, 나랑 일대일로 담판합시다”
■ 성재기의 기이한 죽음…그는 제2의 ‘미시마 유키오’가 되려 했나
■ 30명 성폭행·살해 ‘공포의 살인마’, 알고보니 그저 ‘과대망상’ 환자?
■ [화보] 1950년대부터 90년대까지 해수욕장 풍경 변천사
■ [화보] 한집 같은 두집, 따로 또 같이 산다
■ 김한길 대표 “박 대통령, 나랑 일대일로 담판합시다”
■ 성재기의 기이한 죽음…그는 제2의 ‘미시마 유키오’가 되려 했나
■ 30명 성폭행·살해 ‘공포의 살인마’, 알고보니 그저 ‘과대망상’ 환자?
■ [화보] 1950년대부터 90년대까지 해수욕장 풍경 변천사
■ [화보] 한집 같은 두집, 따로 또 같이 산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