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대 지방 이전을 추진한 참여정부 인사들을 ‘종북세력’으로 규정하고,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환수도 “적화통일의 사전 정지작업”이라고 주장해 논란을 일으킨(<한겨레> 9월30일치 2면) 이원우 외교부 국장이 “처신이 부적절했다. 죄송하다”고 14일 사과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 국장은 정청래 민주당 의원이 “공무원으로서 처신도 잘못했고 내용도 잘못됐다. 국민들께 사과하라”고 요구하자 “외교부 직원보다는 학생으로서 자유로운 토론을 해보려고 한 것이다. (하지만) 제 처신이 매우 부적절했다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국방대에 파견중인 이 국장은 지난달 초 국방대의 ‘안보’ 과정 인터넷 클럽에 ‘국방대 지방 이전에 대한 저의 생각’이라는 글을 올려 국방대 이전을 추진한 참여정부 관계자들을 종북세력으로 규정하고, 노무현 정부가 추진한 전작권 환수를 “공산주의자들의 수법”이라고 주장해 파문을 일으킨 바 있다. 이 국장은 “지금도 그 소신을 가지고 있냐”는 박병석 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제가 글을 올렸을 때 그 주장이 맞다고 올린 게 아니라 이런 생각도 있지 않으냐는 생각에서 올렸다. 제가 본의 아니게 피해를 드린 부분에 대해서는 사과드린다”고 해명했다.
야당 의원들은 이 국장의 행위가 국가공무원법 위반으로 외교부의 책임있는 조처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민주당 심재권·김성곤 의원 등은 “공무원으로서 할 수 없는 말이며 국가공무원법 위반이다. 이 국장을 당장 파면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조대식 외교부 기획조정실장은 “(국방부로부터) 사실관계가 확보되는 대로 외교부 감사관실에서 추가조사한 뒤 관련 규정을 위반했다고 판단되면 조치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