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경필 등 “폭력국회로 회귀 안돼”
일부선 ‘황우여-최경환 갈등’ 분석
일부선 ‘황우여-최경환 갈등’ 분석
새누리당 일부 다선 의원과 소장파 의원들이 15일 “국회선진화법 폐기는 폭력국회로 되돌아가는 것”이라며, 당 원내지도부의 국회선진화법 폐지·개정 움직임에 공개적으로 반발하고 나섰다.
남경필(5선)·정병국(4선)·김세연·홍일표·황영철·이명수(이상 재선) 의원과 초선인 권은희·이상일·이종훈 의원 등 15명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최경환 원내대표 등 원내지도부가 추진하는 국회선진화법 위헌소송 및 국회법 개정에 반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국회선진화법에 대한 헌법소원이나 개정 주장은 실효성도 없을뿐더러 국회선진화법의 본질을 잘못 진단한 처방”이라며 원내지도부 방침을 반박한 뒤 “여야 원내지도부는 대화와 타협을 통해 국회 정상화 방안을 찾는 정치력을 발휘하라”고 촉구했다.
이들 의원들은 ‘야당의 협조 없이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이다’, ‘대통령이 뼈저리게 느끼게 해 주겠다’는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의 발언을 들어 “국회선진화법을 악용해 정기국회 일정을 거부하는 것은 의회주의를 부정하는 것이다. 야당의 발목잡기 수단으로 전락시키기 위해 국회선진화법을 만든 것이 아니다”라며 야당에 대해서도 분명한 비판 의견을 밝혔다.
하지만 친박근혜계 핵심들로 구성된 원내지도부의 방침을 새누리당 의원들이 ‘정치력’까지 거론하며 정면으로 반박한 것은 이례적이다. 일부에서는 최경환 원내대표와 국회선진화법 도입을 주도한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의 갈등으로 보는 시각도 제기된다. 실제로 폐기 반대 쪽에 서려 했던 황 대표 쪽 일부 의원은 당 지도부 갈등설에 부담을 느껴 막판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 의원은 “기자회견에 참여한 다른 의원들이 ‘괜한 오해를 살 수 있으니 빠지는 게 좋겠다’고 (황 대표 쪽 의원에게) 권유했다”고 말했다.
최 원내대표는 이러한 당내 반발을 의식한 듯 이날 오후 의총에서 “국회선진화법에 대해 당내에서 이런저런 생각이 있을 수 있겠지만 야당이 막무가내로 (국회선진화법을) 정쟁 도구로 휘두르는 상황을 어떻게 돌파해 나갈지 지혜를 모아달라”고 말했다. 의총 막바지에 황영철 의원이 국회선진화법 폐기 반대를 위한 자유발언을 신청했지만 국회 본회의가 임박했다는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편, 권성동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국회 본회의 자유발언에서 “야당에 의해 정치적으로 악용되어 국정을 마비시키는 현행 국회법은 반드시 개정되어야 한다”며 국회선진화법 폐기를 요구했다. 국회선진화법 폐기 반대 쪽에 이름을 올린 한 의원은 “국회 폭력 방지는 문화를 개선할 일이지 법으로 강제할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지만, 이미 통과된 법을 가지고 뭐라고 하는 것은 문제다. 박근혜 대통령도 찬성한 법안이 아니냐”고 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