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희 통합진보당 대표(왼쪽 둘째)와 당원들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진보당 해산 반대’ 기자회견을 연 뒤 ‘민주주의를 지켜달라’고 호소하며 108배를 하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진보당 해산심판 19일 선고
“정부 국정개입 국면 탈출용”
새정치, 공식 논평 안내놔
청·새누리, 헌재 결정에 촉각
“정부 국정개입 국면 탈출용”
새정치, 공식 논평 안내놔
청·새누리, 헌재 결정에 촉각
헌법재판소의 정당해산심판청구 결정을 하루 앞둔 18일 통합진보당은 정당해산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모든 당력을 정당 해산의 부당함을 알리는 데 쏟아부었다. 반면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헌재의 결정이 ‘정윤회씨 국정개입’ 논란 등 현재 국면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촉각을 곤두세웠다.
김미희·김재연·이상규 통합진보당 의원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 로텐더홀에서 농성에 들어갔다. 이정희 당대표를 비롯한 당원들은 헌재 인근인 서울 종로 안국역에서 ‘정당해산 반대 민주수호 대국민호소’라는 이름을 걸고 108배를 진행했다. 이 대표는 ‘국민들에게 드리는 호소문’을 통해 “국민 여러분의 마음을 구하기에 저희가 부족했고 폭도 좁았다. 죄송하다”고 절박한 심정을 드러냈다. 그는 “종북몰이는 이제 끝나야 한다. 민주주의가 더 이상 후퇴해서는 안 된다”고 호소했다.
통합진보당은 정당해산 결정이 날 경우 시민사회·종교계·학계·정치권을 망라한 ‘통합진보당 강제해산 반대와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원탁회의’를 소집하고 이들과 함께 향후 대응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청와대는 헌재 선고와 관련해 일체 침묵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론 헌재가 내놓을 결정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당해산청구를 낸 주체는 법무부지만, 헌재 결정에 따르는 정치적 책임은 모두 청와대가 떠안아야 되기 때문이다. 내부적으로는 헌재가 정당해산 결정을 내리면 정치적 부담도 덜고, 최근 ‘정윤회씨 국정개입’ 문건으로 위축됐던 분위기도 반전시킬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거란 기대감도 엿보인다. 문건 파문에 쏠린 시선이 분산되는 효과도 은근히 바라는 눈치다.
새누리당은 헌재 결정이 ‘정윤회씨 국정개입 의혹’ 파문을 덮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일각의 해석을 경계하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하고 있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정당해산심판 대상인 통합진보당이 헌재의 선고 기일 지정에 정치적 의혹을 제기하고 있어 우려스럽다”며 “새누리당은 삼권분립 원칙하에 헌재의 결정을 겸허히 기다릴 것”이라고 했다.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날 공식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 헌재 결정 전 입장을 내놨다가 ‘종북프레임’에 휘말릴 것을 경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새정치연합 당직자는 “앞서 10일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정당해산 결정은 선진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그 전례가 없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정의당은 “통합진보당의 노선에 반대해 결별했지만, 사법기관이 정당을 해산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승준 석진환 서보미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