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왼쪽)ㆍ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당 대표 후보가 3일 제주도당 ‘2015 단배식 및 당 지도부 합동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마친 뒤 포옹하고 있다. 제주/연합뉴스
새정치 ‘빅2’ 대결 가열
박 “당권-대권 분리해야” 포문
당내선 ‘진흙탕 싸움될라’ 우려
두 후보, 세력 확장에도 온힘
문, 김동철·전병헌에 지지 부탁
박, 김부겸·박영선에 공들여
박 “당권-대권 분리해야” 포문
당내선 ‘진흙탕 싸움될라’ 우려
두 후보, 세력 확장에도 온힘
문, 김동철·전병헌에 지지 부탁
박, 김부겸·박영선에 공들여
새정치민주연합 2·8 전당대회 예비경선(컷오프)을 사흘 앞둔 4일, 문재인 의원과 함께 ‘빅2’로 불리는 박지원 의원이 대선 패배 책임론을 꺼내들며 ‘네거티브전’에 불을 댕겼다. 당내에선 2013년 당시 민주통합당에서 낸 공식 대선평가보고서에 한명숙·이해찬·문재인 의원과 함께 대선 패배에 책임이 있다고 지목된 당사자인 박지원 후보가 대선 패배 책임론을 제기한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문 의원은 “네거티브는 하지 않겠다”며 무대응 원칙을 밝혔다.
박 후보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번 전당대회는 당대표를 뽑는 것이지, 대통령 후보를 뽑는 게 아니다”라면서 ‘당권-대권 분리론’을 거듭 강조하며 포문을 열었다. 그는 전날 참석한 제주도당 당원 합동 간담회에서 “당권을 갖고 대통령 후보를 함께 해도 된다는 건 대선 패배 책임을 느끼지 않는 한가한 소리다. 대선 패배에 대해 처절히 반성하고 석고대죄해야 한다”고 문 후보를 압박했다. 또 “우리 당에서 핵심 자리에서 대선을 치른 경험을 가진 사람은 이해찬 전 대표, 김한길 전 대표, 그리고 박지원이다”라며 “2012년 대선 당시 이 3명을 쫓아내고 중앙당에도 오지 못하게 했다”고 문 후보 쪽을 노골적으로 공격했다.
이에 대해 문 후보는 “경쟁자 이전에 동지다”라며 네거티브를 일체 하지 않겠다는 5가지 원칙인, ‘문재인의 오계(五戒)’를 발표했다. 그는 “경쟁 후보에 대해 비방하지 않겠다”며 “선거 기간 동안 후보자 간 직통 소통선(핫라인)을 두어 불필요한 갈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화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당내에선 이번 전대가 국민들의 신뢰를 잃은 새정치연합을 혁신할 기회가 되지 못하고, 친노-비노, 영남-호남의 낡은 구도에서 과거회귀형 진흙탕 싸움으로 흘러가는 조짐을 보이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과거를 들추다 보면 전당대회에 나온 누구도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않다. 2012년 대선이 끝난 지 넉달 만에 나온 대선평가보고서에서 문 의원은 선거대책위원회 구성에 리더십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고, 의원직이라는 기득권도 내려놓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았다. 당시 원내대표였던 박 의원은 2012년 6·9 전당대회에서 ‘이해찬-박지원 담합’ 논란을 낳아 대선 예비후보끼리 갈등을 부추겼다는 비판을 받았다.
선거전이 뜨거워지며 지역과 계파색이 뚜렷한 두 후보는 세력 확장을 위해서도 고군분투하고 있다. 문 후보는 최근 당대표 출마를 포기한 ‘비노 진영’의 김동철 의원에게 지지를 부탁하고, ‘정세균계’로 꼽히는 전병헌 최고위원 후보에게도 지지를 요청하며 ‘산토끼’를 잡는 데 힘을 쏟고 있다. 박 후보는 김부겸 전 의원, 박영선 전 원내대표에게 공을 들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날 충청권 민주화 운동의 원로인 송좌빈(91)씨를 만나며 충청지역 표심 끌어안기에도 힘을 쏟았다.
두 후보는 또한 선대위 캠프 구성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문 후보 쪽은 “김대중·박원순·안철수 참모 출신 및 외부 전문가로 꾸린 탈계파, 무지개팀”이라고 내세우며 다양한 이력의 인물들로 캠프를 구성했다. 김대중 정부 때 청와대 춘추관장을 지낸 김기만씨가 대변인을 맡고, 안철수 대선캠프 소셜미디어팀장을 지낸 유승찬 ‘스토리닷’ 대표, 박원순 시장을 보좌했던 권오중 전 서울시장 정무수석, 카피라이터 이정상씨와 영화 홍보 마케팅 전문가 유순미씨 등 외부 전문가도 뛰고 있다. 반면, 박 후보 캠프는 김유정·전현희 전 의원이 각각 대변인과 비서실장을 맡고, 박양수 전 의원, 이훈 전 청와대 국정상황실장과 황인철 전 청와대 통치사료비서관 등 선거 실무에 풍부한 경험을 지닌 정치권 인사들로 구성됐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