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에 분향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문재인 신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 내 박정희 전 대통령 묘소를 찾아 참배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당대표가 9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 묘역에 참배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새정치민주연합의 새 사령탑으로 선출된 문재인 신임 당대표가 9일 첫 일정으로 서울 동작구 현충원의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했다. 문 대표는 참배 전 “모든 역사가 대한민국입니다. 진정한 화해와 통합을 꿈꿉니다”라고 방명록에 적었다. 아직 역사적 평가가 끝나지 않은 두 전직 대통령을 참배하는 이유를 이렇게 밝힌 셈이다.
이날 당 지도부와 김대중 전 대통령 참배를 마친 문 대표는 문희상 전 비상대책위원장, 우윤근 원내대표와 함께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 묘역을 찾았다. 이날 참배는 문희상 전 비대위원장의 제안으로 이뤄졌다.
문 대표는 참배 뒤 기자들에게 “묘역의 참배 여부를 둘러싼 갈등을 끝내고 국민 통합에 도움이 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참배를 결심했다”고 통합을 강조했다. 중도층을 포용하며 당의 외연 확장을 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보인다.
하지만 문 대표는 “진정한 국민 통합은 가해자 측이 잘못을 반성·사과하고 피해자를 위로해서 피해자가 용서하는 마음을 가질 때 이뤄진다”며 “박근혜 정부가 그런 진정한 화해와 통합의 길로 가길 진심으로 촉구한다”고 날을 세웠다. 그는 “박근혜 정부가 국민 통합에 역행하는 일을 많이 한다”며 “그 중 하나가 극심한 인사 편중·인사 차별이고, 이명박·박근혜 정부가 국민통합을 깨는 현저한 사례가 많은데 이는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민주정부의 역사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가 두 전직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한 것은 반대로 박 대통령이 화해와 통합을 거부하고 있다는 것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태도 변화를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표는 “지금이라도 6·15, 10·4를 존중하고 실천하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박 대통령이 말씀하신 ‘통일 대박’을 이루는 길이라고 말씀드린다”고도 밝혔다.
하지만 이날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 묘역 참배는 전날 문 대표와 신임 지도부가 가진 첫 간담회에서 일부 반대 의견이 제기돼, 문희상 전 비대위원장, 우윤근 원내대표, 김성곤 윤후덕 송호창 의원만 함께 했다. 최고위원 5명 가운데 주승용·정청래·오영식 의원은 현충원은 방문했으나 두 전직 대통령 묘역 참배는 하지 않았다. 또 전병헌·유승희 최고위원은 현충원 방문에 불참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