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총선체제’ 동상이몽
주류쪽 “안 의원 계속 설득하면서
안희정·김부겸 함께하는 그림도”
안 “손만 잡으면 살길 열리는지”
박쪽 “돕겠지만 현직이라 제한”
비주류 “문 결단해야” 오늘 회견
일각 태도변화 “연대 성사시켜야”
주류쪽 “안 의원 계속 설득하면서
안희정·김부겸 함께하는 그림도”
안 “손만 잡으면 살길 열리는지”
박쪽 “돕겠지만 현직이라 제한”
비주류 “문 결단해야” 오늘 회견
일각 태도변화 “연대 성사시켜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꺼내든 ‘문·안·박(문재인-안철수 의원-박원순 시장) 연대’ 카드에 대해 주류는 물론 비주류 일각에서도 총선 승리를 위한 통합 비전을 만들려면 이를 성사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15일 나오기 시작했다. 하지만 키를 쥐고 있는 안철수 의원이 여전히 이에 부정적인 태도인데다 실현 가능성에 대한 당 안팎의 의구심이 가시지 않아 성사까지는 적잖이 진통이 예상된다. 또 비주류 쪽은 ‘문·안·박 연대’가 성사되더라도 문재인 대표의 ‘2선 후퇴’가 전제돼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총선 체제’를 둘러싼 갈등이 증폭될 것으로 전망된다.
■ 문재인 ‘문안박’이 ‘필승카드’ 지난 9월 재신임 국면 고비를 넘어선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는 최근 호남 지지율이 5%대로 추락하며 거취 압박이 거세지는 등 다시 리더십 위기를 맞았다. 그는 난국을 돌파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안·박 연대’의 성사에 온 힘을 쏟고 있다. 비주류들의 조기 선거대책위, 통합전당대회 요구는 결국 ‘지분 나눠먹기’로 귀결될 수밖에 없고, 당의 변화를 보여주려면 대중적 지지가 높은 세 사람이 함께 당의 얼굴로 나서야 한다는 판단이다. 현재 안철수 의원이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문 대표 쪽 관계자는 “일단 개문발차를 해야 한다. 안 의원을 계속 설득하면서 안희정 충남도지사, 김부겸 전 의원과 함께하는 그림을 만들 것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당내에서도 ‘문·안·박 연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박영선·민병두 의원, 김부겸 전 의원 등 당내 중간지대 모임인 ‘통합행동’은 이번주 “문재인 대표와 안철수 의원이 접점을 찾아야 한다”며 중재의 목소리를 내기로 했다. 민병두 의원은 “당내 혁신방향을 공론화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또 주류 쪽 강기정·최재성·김태년·우상호, 비주류 쪽 문병호·정성호·최원식 의원은 최근 ‘7인회’를 꾸리고 문 대표와 안 전 대표가 함께하는 새로운 지도체제 재구성을 논의하자고 요구하기로 했다. 이들은 지난 12일 만나 “현재의 위기를 문·안·박이 손잡고 헤쳐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 안철수 “세사람 손잡는다고 달라지지 않아” 그러나 문·안·박 연대의 키를 쥐고 있는 안철수 의원은 지난 12일 국민대 강연에서 “문·안·박, 세 사람이 손만 잡으면 우리 당의 살길이 열리는지 묻고 싶다”며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안 의원은 15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도 “9월초 당 부패 청산, 낡은 진보의 혁신 등의 문제제기를 했는데 두달이 지났는데 국정 교과서, 10·28 재보궐선거 참패 등 상황은 더 엄중해졌다”며 당을 변화시킬 혁신 방향에 대한 문재인 대표의 답이 먼저라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힘을 합치라”는 당내 요구에 “당내 목소리가 활발해지는 것은 그만큼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이다. 9월초에 제가 이대로 총선 치르면 이기기 힘들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는데 문 대표의 인식은 바뀌지 않은 것 같다”고 잘라 말했다.
지난 13일 전국의 지역 활동가, 지지자들과 만난 안 의원은 “당의 문제에 대해 여러분들에게 의견을 듣고 있다”며 “당이 달라지지 않고 더 상황이 심각해지니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방향에 대해 고민중”이라고 말했다. 안 의원은 17일 공정성장론 토론회에 이어 조만간 자신이 생각하는 당의 근본적인 혁신 방향에 대해 밝힐 예정이다.
‘문·안·박 연대’와는 별개로, 문재인 대표가 권한을 내려놔야 한다는 비주류들의 압박은 계속될 전망이다. 최원식·김동철·유성엽 의원 등 당내 비주류 10여명은 문 대표의 ‘결단’을 촉구하는 연서명을 받아 16일 기자회견을 열기로 해 또 다른 갈등이 예고되고 있다. 연서명에 이름을 올린 동시에 7인회 멤버이기도 한 최원식 의원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문재인 대표가 내려놓는 결심을 해야 한다는 게 (비주류 쪽) 의원들의 입장이다. 문재인 대표가 거취를 결단하고 나면 안 의원도 동참하는 ‘문·안·박 연대’가 성사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대표가 살신성인의 결단을 통해 대통합 비상지도부를 구성하라”고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 ‘문안박 연대’ 위상과 역할은? ‘문·안·박 연대’가 성사되더라도 당내에서 어떤 위상과 역할을 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문 대표의 ‘원톱 리더십’을 교체하고 문·안·박이 권력을 골고루 나눠 가지려면, 문·안·박 연대는 최고위원회 수준의 의사결정기구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엔 현 최고위를 해체하거나 과감한 권력 분산이 이뤄져야 할 텐데 이는 다른 최고위원들이 선뜻 동의하기 어렵다. 문 대표의 측근은 “살아 있는 지도부의 힘을 빼앗으려고 하면 전당대회를 통해 어렵게 당선된 최고위원들의 저항이 심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직 서울시장이 당내 문제에 깊숙이 개입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박원순 시장 쪽은 “당의 기둥인 문재인, 안철수 두 사람이 간판 역할을 잘 하도록 돕겠다는 게 박 시장의 기본 생각이고 문재인, 안철수 두분께도 그런 의견을 전달했다. 다만 현직 시장이기 때문에 역할에 제한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문·안·박 연대가 조기 선거대책위원회 역할을 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지방자치단체장은 특정 정당, 특정 후보의 선거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당내에선 ‘민생지도자회의’처럼 폭넓은 의제를 고리로 한 기구 구성이 검토되고 있다.
이승준 이유주현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