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19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친박계인 서청원(왼쪽부터), 원유철 의원을 외면한 채 지나가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정진석 20일 중진회의서 수습책 모색
하태경 “진박 아닌 대통령 파는 매박”
하태경 “진박 아닌 대통령 파는 매박”
정진석 원내대표가 19일 분당설까지 나올 정도로 골이 파인 계파 갈등 해법을 중진회의에서 찾겠다고 했다. 그러나 자신의 비대위원장직 유지 여부와 비대위원 구성 등을 두고 당내 의견이 엇갈려 답이 나올지는 미지수다.
“당에 내 편이 없다”며 전날 지역구인 충남 공주에 머물렀던 정 원내대표는 이날 3당 원내지도부 회동에 참석하려 다시 상경했다. 그는 “내일(20일) 원내지도부와 중진의원 연석회의를 열어 비상대책위원회와 혁신위 구성 문제에 관해 말씀을 들어보겠다”고 말했다. 중진 연석회의는 11일 정 원내대표의 비대위원장 겸직을 인정해준 바 있다.
4선 의원 이상이 모이는 이 회의에서는 정진석 비대위원장 재추대 여부와 비대위원 재신임, 혁신위원장 재임명, 전당대회 시점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비대위와 혁신위를 무산시킨 친박계 초·재선들은 “최소한 한쪽 계파에 일방적으로 치우친 비대위원은 빼야 한다”(박대출 의원)고 주장한다. 반면 비박계인 하태경 의원은 친박계를 겨냥해 “대통령을 팔아서 정치하는 ‘매박’”이라고 비판하며 “일부라도 비대위원을 재구성하게 되면 이는 비대위원장인 원내대표의 권위를 흔드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반대했다.
중진들의 의견도 계파별로 차가 크다. 친박계 한 중진의원은 “결자해지 차원에서 정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직에서 물러나며 비대위원들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온건 친박계로 분류되는 이주영 의원도 “정 원내대표는 원내대표직에만 전념하고 원점에서 비대위원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반면 비박계 한 중진의원은 “원내대표로 뽑아줬는데 벌써부터 흔드는 것은 무책임하다”며 비대위원장 재신임을 제안하면서도 “균형 있는 비대위원 재구성을 위해 기존 비대위원들이 알아서 사퇴해야 한다”고 했다. 정 원내대표는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비대위원을 일부만 교체한다는 것은 무리다. 혁신위원장은 다시 임명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총선 참패 원인과 쇄신을 주도할 혁신위의 존재감은 현저히 줄어드는 분위기다. 홍문종 의원 등 친박계는 “당내 혼란을 줄이고 화합하려면 최대한 빨리 전당대회를 치러 정식 지도부를 꾸려야 한다”고 주장해 총선 참패 주범으로 지목되는 걸 피하려 한다는 의구심을 낳고 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