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대통령 “재선거 참패는 국정 평가” 에도 집단 반발 움직임
노무현 대통령이 27일 10·26 국회의원 재선거 참패에도 불구하고 문희상 열린우리당 의장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뜻을 비쳤으나, 재야파를 비롯한 열린우리당의 상당수 의원들이 지도부 사퇴와 당·정·청 전면쇄신 등을 요구하며 집단적인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당내 재야파 의원들이 주축인 ‘경제 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국민연대’(민평련) 소속 의원 10여명은 이날 오전과 오후 잇달아 모임을 열어, △지도부 사퇴 △대선주자 당 복귀 △비상대책기구 구성 △당·정·청의 전면쇄신 △조기 전당대회 개최 등에 의견을 모았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이들은 28일 열리는 중앙위원·의원 연석회의에서 이런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기할 예정이어서 파문이 확산될 전망이다.
특히 선병렬 의원 등 일부 의원들이 “대통령의 발언은 부적절하며, 일시적 항명으로 보이더라도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하는 등 노 대통령을 직접 겨냥한 발언도 나오고 있다. 이호웅·김태홍 의원 등 일부 의원들은 민평련 소속인 장영달 상임중앙위원의 사퇴를 통해 지도부 사퇴의 물꼬를 터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기남 의원 등이 참여한 ‘신진보연대’도 이날 성명을 내어, “지금의 당·정·청 관계는 ‘유기적 협력관계’인지 ‘수직적 역할분담 관계’인지 모호하기 이를 데 없다”며 “당이 선도적으로 국정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비상대책위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유시민 상임중앙위원은 “지도부가 지금 당장 사퇴하면 정기국회 대책이 없으므로 내년 1월 또는 2월까지로 사퇴시한을 정한 뒤 전당대회를 열자”는 중도적인 의견을 제시했다.
앞서 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일일상황 점검회의에서 이병완 비서실장을 통해 “이번 재선거 결과를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로 받아들인다”며 “열린우리당은 동요하지 말고 정기국회에 전념해 달라”고 밝혔다. 이는 노 대통령이 지금의 문희상 의장 체제를 당분간 유지해야 한다는 뜻을 당에 간접적으로 전달한 것으로 풀이된다.
노 대통령은 오는 29일 당·정·청 수뇌부 만찬을 열어, 10·26 재선거 패배 이후의 정국 방향에 대한 생각을 밝힐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