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내부 ‘지도부 사퇴론’ 분출-
“최순실 국정농단 못막은 책임”
김무성·나경원 등 41명 회동 “비대위로 전환해야”
‘최순실 규명 모임’ 21명도 꾸려 지도부 교체 촉구
이정현 “사태수습 우선” 사퇴 거부
“최순실 국정농단 못막은 책임”
김무성·나경원 등 41명 회동 “비대위로 전환해야”
‘최순실 규명 모임’ 21명도 꾸려 지도부 교체 촉구
이정현 “사태수습 우선” 사퇴 거부
새누리당 내부에서 당 지도부 총사퇴를 비롯한 ‘재창당 수준’의 쇄신 주장이 분출하고 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해 당 지도부가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청와대·내각의 전면개편을 요구한 데 이어, 이번에는 당 지도부가 의원들로부터 퇴진 요구에 직면한 것이다. 이정현 대표 등 지도부는 ‘사태수습이 우선’이라며 일단 방어적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지도부 사퇴 주장은 비박근혜계는 물론 일부 친박계도 가세하면서 점점 커질 것으로 보인다.
김무성 전 대표와 나경원 의원 등 새누리당 의원 41명은 31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긴급히 모여 “‘최순실 국정 농단’을 막지 못한 책임이 있는 현 지도부가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이날 회동은 심재철·정병국·이군현·주호영·권성동·김성태·김용태·이혜훈·홍일표·이진복 의원 등 비박계가 주축을 이뤘으나, 친박계로 꼽히는 이학재·이만희 의원도 함께 했다. 회동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동참 의사를 전한 의원들을 포함하면 현재까지 54명이라고 한다. 회동에서는 “지도부를 해체하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쇄신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쏟아졌다. 또 당 차원에서 대국민 석고대죄를 하고, 당명까지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고 한다. 이들은 의원 50명의 서명을 모아 지도부 사퇴 촉구를 위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했는데, 정진석 원내대표의 수술 일정 때문에 빠르면 11월2일 일정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회동에 참석한 장제원 의원은 ‘최순실 특검’의 형태를 놓고 당 지도부가 야당의 ‘특별법에 의한 별도 특검’ 요구를 거부하는 데 대해 “(진상규명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조건 수용하라는 의견이 많았다. 박근혜 대통령의 탈당 문제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서 논의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회동과 별도로, 이날 ‘최순실 파문의 진상규명과 국정 정상화를 요구하는 모임’도 당내에 꾸려졌다. 비박계 3선인 김세연·김영우·홍일표 의원 등 21명 의원이 참여했다. 친박 또는 범친박계로 분류돼온 유의동·김순례·김종석·김현아·성일종·송석준·송희경·정유섭 의원도 모임에 가입했다. 사실상 ‘탈박’을 선언한 셈이다. 이들도 이날 성명을 내어 당 지도부 사퇴를 촉구했다. 오신환·김종석·김현아 의원은 각각 맡고 있던 홍보본부장, 여의도연구원장, 대변인 당직에서도 사퇴했다. 이 모임 결성과 김무성 전 대표 등의 회동에 중복 참여한 이들이 11명임을 고려해도, 새누리당 전체 의원 129명 가운데 절반 가까운 60여명이 지도부 사퇴를 요구하는 셈이다.
의원들이 대대적으로 들고 일어선 것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수습을 위해서는 청와대·내각은 물론 당의 대대적 쇄신이 필수적이라는 위기감 때문이다. 당이 ‘청와대 출장소’라는 오명을 깨고 정국을 주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은 최근 당 지지도마저 더불어민주당에 역전당했다. 김무성 전 대표는 이날 회동에서 “재창당 수준의 납득할 만한 조치들이 당에서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고 황영철 의원이 전했다.
당 지도부는 이날 “지금은 사태 수습이 우선”이라며 지도부 총사퇴 요구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이정현 대표는 “어떤 지도부도 자리에 연연해 하지 않는다”면서도 “지금은 이 난국을 일단 수습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태 수습 책임감”을 강조하며 ‘무책임하게 지도부를 흔드는’ 비박계 등을 에둘러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 핵심 당직자는 “현 지도부로 사태를 수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도부 교체는 시간 문제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진철 이경미 기자 nowhere@hani.co.kr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오른쪽 둘째)와 심재철 국회 부의장(왼쪽 둘째) 등 비박계 의원 40여명이 31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긴급모임을 갖고 지도부 퇴진 요구 등 최순실씨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수습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