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민주평화 포럼 대표단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순실 게이트’로 퇴진 압박을 받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야당이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주말 대규모 촛불집회에도 불구하고 청와대가 총리 지명 철회 등 야당의 요구에 응답하지 않자, ‘퇴진 정국’을 준비하는 모양새다. 정치권 일각에선 ‘탄핵’도 언급되고 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7일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박 대통령은 이미 국민에게 불신임을 받았다. 민심은 박 대통령의 하야를 요구하고 있고 국정에서 한시 빨리 손을 떼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추 대표는 “박 대통령은 민심에 반하는 폭주 개각을 철회하고 국회가 추천하는 총리를 수용해 정국을 수습해나가야 한다”며 “이런 요구를 끝까지 외면하면 불행하게도 정권 퇴진운동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낮 함세웅 신부 등 민주평화포럼 대표단과 가진 오찬 회동에서도 원로들은 추 대표에게 “박 대통령의 퇴진에 모든 힘과 전략을 집중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추 대표는 8일 오전 문재인 전 대표를 비롯해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김부겸 의원, 이재명 성남시장 등 5명의 대선주자들과 만나 앞으로의 투쟁 방식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그동안 ‘퇴진’ 요구와는 거리를 둬온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도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이번 주에 부족한 사과를 실천으로 메우지 못하면 촛불이 횃불이 되고 민심의 쓰나미가 청와대를 덮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대통령이 정국수습을 위한 아무런 해법도 내지 않는 현재, 국민의당도 민심을 따를 수밖에 없다”며 퇴진 투쟁에 나설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국민의당에선 처음으로 김광수·김삼화·송기석·이동섭·이상돈·이용주·채이배·최경환·최도자 의원 등 초선 의원 9명이 박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야권 곳곳에선 그동안 자제해왔던 ‘탄핵’ 주장도 불거져 나왔다. 국민의당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대책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천정배 의원이 이날 사견임을 전제로 “박근혜 대통령의 결단을 하염없이 기다릴 수 없다. 헌법에 따른 탄핵에 착수해야 한다”고 주장한 데 이어 비대위원인 주승용 의원도 “2선 후퇴라는 정치적 탄핵인지, 법적 탄핵인지 이후 로드맵을 논의해 야권이 한 목소리를 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이언주 의원(민주당)도 <와이티엔>(YTN) 라디오에 출연해 “총리 지명 철회를 받아들이지 않고 대통령이 맞서는 모습을 보이면 국민과 함께 하야 운동을 하면서 결국 국회가 탄핵소추안 발의에 착수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