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시국위 “임기단축 개헌 명분없어…탄핵 표결땐 가결시킬 것”
친박도 ‘4월 사퇴’에 공감…정진석 “4월 사퇴 준거로 협상해야”
친박도 ‘4월 사퇴’에 공감…정진석 “4월 사퇴 준거로 협상해야”
새누리당은 30일 주류·비주류를 포함해 박근혜 대통령의 사퇴 시한으로 내년 4월 말을 제시했다. 이는 지난 27일 전직 국회의장과 원로급 인사들이 제안한 시한과 같은 것으로, 비주류 쪽은 박 대통령 스스로 사퇴 시한을 제시하라고 촉구한 반면 정 원내대표는 이 시한을 준거로 여야 협상을 벌이겠다고 밝혔고 친박 지도부는 4월 말이 사퇴 시점으로 적절하다는 뜻만 내비쳤다.
새누리당 비주류들이 주축을 이룬 비상시국위원회는 이날 오전 대표자·실무자 연석회의를 열어 대통령 임기 단축을 위한 개헌은 명분이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박 대통령 스스로 내년 4월 말로 사퇴 시한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비상시국위원회는 박 대통령 탄핵 추진을 강행할 경우 탄핵안 가결이 어려움이 없도록 하겠다고도, 비상시국위 대변인인 황영철 의원이 이날 밝혔다.
비상시국위는 “대통령의 진정성을 확인시켜주기 위해서라도 대통령 스스로 자진사퇴 시한을 명확히 밝혀줘야 한다”며 가장 적절한 시점으로 내년 4월 말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이 내년 4월 말 자진 사퇴하면 이로부터 60일 뒤인 6월 말 대선이 치러진다. 비상시국위는 박 대통령이 ‘자신의 임기 단축을 위한 개헌’을 내비친 데 대해선 “대통령의 임기 단축만을 위한 개헌은 명분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내년 4월 말로 사퇴 시한을 제시하고 국회가 추천한 중립내각 국무총리에게 국정을 맡긴 뒤 2선으로 후퇴해 국정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상시국위 회의에 참석한 여러 의원들은 “‘국회가 룰을 정해달라’는 대통령의 요청은 국회가 이런 결정을 내리지 못하리라는 것을 노린 또 하나의 시간 끌기나 임기를 채우려는 수단으로 볼 수 있다”고 비판했다고 황 의원은 전했다.
비상시국위는 또 다음달 9일 열리는 정기국회 마지막 본회의가 박 대통령 탄핵안 처리의 마지노선임을 밝히면서 “8일 밤까지가 (박 대통령 사퇴 관련) 여야의 협상 시한이고 불발되면 9일 탄핵 절차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며 “탄핵 가결선에 무슨 큰 어려움이 있을 것처럼 얘기하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저희가 파악한 바로는 탄핵 의결정족수는 분명히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박 대통령의 내년 4월 사퇴가 여야 협상의 준거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정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지난 주말 국가원로들이 대통령의 내년 4월 사퇴, 6월 대선이라는 일정을 제시한 바 있다. 저는 원로들의 이번 제안이 대통령 사임 시기에 대한 논의에서 충분한 준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대통령 사임 시기를 정하는 협상, 즉 조기 퇴진과 조기 대선 일정을 잡는 협상에 (야권이) 즉각 나서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정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의 즉각 자진사퇴와 탄핵에 반대한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그는 “어제 대통령이 즉각 하야를 발표했더라면 우리는 내년 1월말 대선을 치러야 한다. 이런 벼락치기 대선을 우리 정치권이 과연 감당할 수 있겠느냐. 국민이 원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또 “국회가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의결하면 여야는 국민에게 정리된 정치일정을 제시하지 못한 채 헌법재판소만 바라보게 될 것이다. 국정혼란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원진 최고위원도 이날 의원총회가 열리는 중 기자들에게 ”내년 4월30일이 대통령 하야 날짜로 가장 맞지 않느냐”며 “일정으로 봐서 대선이라는 게 전당대회도 치러야 하고 여러 과정이 있다. 그러니 최소한 6개월 정도는 시간을 줘야겠다. 저는 4월30일을 전제로 야당과 협상하는 게 맞지 않느냐 이런 입장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야당 협상을 위한 지도부의 입장은 여기까지고, 새로운 (선출될) 비대위원장이 야당과 협상 테이블에 앉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관련 영상] 한겨레TV | 더 정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