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친박근혜계와 비박근혜계가 지난 16일 원내대표 선거에 이어 이번엔 비상대책위원장 인선을 두고 정면충돌하고 있다. 원내 권력을 차지한 친박계가 비박계의 ‘유승민 비대위원장’ 카드에 반대하고 나서면서, 당분간 비대위 구성을 둘러싼 2차 공방이 이어질 전망이다.
비박계 대선 주자로 꼽히는 유승민 의원은 18일 보도자료를 내어 “당 개혁의 전권을 행사하는 비대위원장을 맡게 된다면 기꺼이 그 독배를 마실 각오가 돼 있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이어 “전권을 행사하는 비대위원장이 아니라면 어떤 제안도 받아들이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말한다”고 밝혀, 친박계 내부에서 제기되는 친박계와 비박계의 ‘공동 비대위원장 체제’를 명확히 거부했다.
그러나 친박계는 “유승민은 절대 안 된다”는 완강한 입장이다. 친박계의 한 중진 의원은 “핵심 친박들 사이에서는 ‘다른 사람은 다 돼도 유승민만은 안 된다’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정우택 신임 원내대표도 비박계에 비대위원장 추천권을 주겠다고 밝혔으나 “계파색 짙은 인사는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김무성 전 대표도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명되지만, 친박계는 어떤 경우에도 ‘전권’을 줄 수는 없다는 태도다. 한 친박계 재선 의원은 “유승민 의원도 자신의 요구가 친박계에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보지 않을 것”이라며 ‘탈당 명분 쌓기’로 풀이했다. 당 안팎에서도 비박계가 당분간 비대위 구성 주도권을 강하게 주장하며 적절한 탈당 시기를 모색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남경필 경기지사와 김용태 의원 등 탈당파는 유승민 의원 등 새누리당 비박계를 향해 “어떤 수모를 더 당해야 친박과 결별할 것이냐”며 탈당을 촉구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관련 영상] <한겨레TV> | 정치 논평 프로그램 ‘더정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