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오전 국회 당 대표실 새해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산하 민주연구원의 ‘개헌 전략보고서’를 둘러싼 논란이 잦아들지 않는 가운데, 추미애 대표가 이번 사태의 책임을 지고 있는 김용익 민주연구원장의 사의 표명을 반려할 뜻을 내비쳐 다른 대선주자들과 비주류쪽의 반발이 예상된다.
추 대표는 8일 새해 기자회견에서 김 원장의 거취와 관련해 “(개헌 보고서에) 민감한 시기에 부적절한 표현이 있긴 하지만 특정세력(문재인 전 대표)을 위한 문건이라는 보도는 사실과는 다르다”며 “(김 원장은) 소속 연구원의 잘못에 감독자로서의 지휘 책임을 져서 사의 표명을 한 것이고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전제 사실 자체가 사실이 아닌 걸로 드러난 이상 제가 고민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민주연구원의 개헌 보고서가 문 전 대표에게 유리하게 작성됐고 친문재인계 의원들끼리 공유했다’는 한 언론의 보도가 오보로 드러난 만큼, 김 원장의 사표를 수리하는 것은 지나치다는 취지다.
이어 추 대표는 “이건 하나의 소동인데 그 소동을 계파 대립이라는 각도에서 보고, 사실 그렇지 않은데 계파 대립, 갈등으로 문제를 비화시키면 안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추 대표는 다음주 민주연구원 인사위원회에서 보고서 작성자인 문병주 연구위원의 징계 수위가 결정되면 김 원장의 거취를 매듭지을 예정이다.
박원순 서울시장·김부겸 의원 등 당내 다른 대권주자들이 개헌 보고서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데다 당내에선 김 원장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어, 자칫 대선 경선을 앞둔 상황에서 이번 논란이 심각한 갈등으로 비화될 가능성도 있다. 당내 비주류의 한 의원은 “대선 앞둔 시점에 모든 가치판단의 기준은 공정한 경선을 통한 정권교체여야 한다”며 “보고서가 문제된 만큼 대표는 좌고우면하지 말고 ‘공정성 시비’가능성을 서둘러 차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