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김이수 헌법재판소장에 대한 인사청문회. 정회 시간 청문회장에 들어온 자유한국당 이채익 의원이 참고인들을 향해 “전부다 어용 교수, 어용 NGO단체들이다”라며 비난하다 참고인들의 항의를 받고 당황해하고 있다. 이날 청문회에는 송선태 518 기념재단 전 상임이사와 김종철 연세대 교수, 고 백남기씨의 장녀 백도라지씨 등이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이채익 의원이 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5·18민주화운동 관련 단체를 향해 “어용단체”라고 비난해 당사자들의 반발을 샀다.
이 의원은 8일 국회에서 열린 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김 후보자의 과거 5·18민주화운동 가담자 사형 판결을 비판하면서 “제가 민주화운동을 했던 사람으로서, 너무 억울하고 분하다. (여당이) 그토록 5·18 정신을 얘기히면서 정면 배치되는 얘기를 하고 있다”면서 “그런 사람(김 후보자)이 헌재소장으로 지명받고 5·18단체가 옹호한다. 엄중한 역사적 현장에 나와 허튼 얘기를 하려고 앉아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어 “전부 다 대한민국의 어용 교수, 어용 엔지오 단체”라고 비판했다. 과거 5·18민주화운동 가담자에게 사형판결을 했던 김 후보자에 대해 5·18단체가 문제삼지 않는 것에 불만을 드러낸 것이다. 참고인으로 나온 김종철 연세대 교수가 “말씀 조심하세요. 증언하러 나왔는데 어용이라니요”라며 강하게 반발하자 이 의원은 “김종철 참고인한테 얘기 안 했다”고 말했다.
이후 김성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자유한국당은 5·18 북한군 개입설 진상규명을 주장하는 정당인데, 청문회에서 발언을 들어보면, 5·18정신을 높게 평가하는 것 같아 어느쪽이 진심인지 국민들이 혼란스러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평소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평가에 비판적인 자유한국당이 김 후보자의 자격미달을 비판하며 ‘5·18정신을 훼손했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우는 점을 비꼰 것이다.
이에 이 의원은 “민주화운동을 한 사람으로서 실체적 진실을 파악하려 했지만 당시 사형판결을 받은 당사자가 출석하지 않는 등 청문회가 제대로 될 것인지 우려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또 “엔지오 단체가 어용단체가 돼서야 되겠느냐는 포괄적인 이야기를 한 것이지 특정 5·18단체를 어용단체라 이야기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이 의원은 증인신문 도중 ‘5·18민주화운동’을 두 차례 “광주사태”라고 지칭하기도 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