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우원식 갈등? 더불어민주당의 추미애 대표(오른쪽)와 우원식 원내대표가 2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엘지유플러스 고교실습생 사망사건 해결’ 상생 꽃달기 행사에서 굳은 표정을 지은 채 엇갈리고 있다. 우 원내대 표는 전날 “당 내외의 ‘추경 반토막 발언’에 모욕감을 느낀다”고 말해 추 대표와의 갈등설이 나돈 데 대해 “추 대 표 이야기를 반박하려고 한 말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문재인 대통령이 문무일 신임 검찰총장에게 철저한 검찰 개혁을 주문한 데 이어, 여당 지도부도 검찰을 향해 “대수술 수준의 개혁”을 압박하며 지원사격에 나섰다. 당청이 호흡을 맞춰 개혁의 골든타임인 정권 초기에 인적 쇄신을 비롯한 검찰 개혁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6일 국회 당 대표실로 찾아온 박상기 법무부장관을 만나 “지난 정부의 검찰이 부패권력의 하수인 노릇을 하면서 국민을 보호하는 검찰의 역할보다 권력에 편승해서 부패권력을 엄호하고, 사수하고, 사회정의를 바로세우지 못했다”며 “권력기관 중에서 검찰 개혁이 가장 우선 순위에 있다”고 짚었다. 추 대표는 이어 “적폐청산의 대상이 되어버린 검찰에 대해 단호하고 주저함 없는 대수술 차원의 개혁을 하지 않으면 새롭고 정의로운 대한민국은 없다. 사즉생의 각오로 임해주시라”고 주문했다. 박 장관은 “앞으로 검찰 개혁에 대한 국회 차원의 협조도 부탁드린다”고 답했다.
우원식 원내대표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여당 간사인 박범계 최고위원도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를 비롯한 검찰 개혁을 촉구했다. 우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문무일 총장을 향해 “조직 안정화에 매몰되지 말고 인적·제도적 개혁에 나서야 한다. 검·경 수사권 조정, 공수처 설치, 법무부의 탈검찰화 등 3대 검찰개혁 과제 달성에 박차를 가해달라”고 말했다. 이 회의에서 박 최고위원도 “검찰을 진심으로 ‘국민의, 국민을 위한 기관’으로 바꾸어 달라는 국민의 열망을 신임 검찰총장과 2천여 명의 검사들이 이해하고 따라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