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출근하기 위해 버스를 기다리고 있는 북한 평양 시민들. 평양/재미언론인 진천규씨 제공
북핵 위기 등으로 크게 급감했던 국제사회의 북한에 대한 대북 지원이 최근 들어 회복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박주선 의원(국민의당)이 30일 외교부로부터 받은 ‘타 국가, 국제기구의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 현황’ 자료를 보면 미국, 유럽연합(EU), 호주, 독일, 인도 등 18개국과 세계식량계획(WFP), 유엔아동기금(UNICEF), 세이브더칠드런 등 국제기구가 북한에 제공한 인도적 지원액은 2013년 4524만달러에서 2014년 2664만달러로 급감했다. 미국과 인도 등 주요 원조국이 대북 제재 강화에 따라 지원을 줄인 영향으로 보인다.
그런데 2015년에는 3167만달러로 늘었다가 2016년 4380만달러, 올해엔 9월 말 현재 3684만달러로 회복 추세에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최근 4년간 지원이 없었던 미국은 올해 들어 유엔아동기금을 통해 100만달러를 지원했으며, 2013~2016년 0달러이던 인도도 지난해 100만달러를 인도적으로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적 지원을 끊었던 러시아도 지난해 300만달러를 지원한 데 이어 올해 9월 기준 300만달러를 북한에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3년 133억원, 2014년 141억원, 2015년 140억원을 인도적으로 지원하다가 2016년 1억원으로 급감한 바 있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달 21일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를 개최하며 세계식량계획에 450만달러, 유엔아동기금에 350만달러 등 총 800만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북한에 하겠다고 결정했다.
박주선 의원은 “정부가 국제기구를 통해 800만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밝힌지 한 달이 지났지만 북핵 실험 등을 이유로 여전히 지원시기를 정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치, 군사 상황과 별개로 임산부와 영유아 등 북한 주민들을 위한 인도적 지원은 하루속히 재개돼야 한다”고 말했다. 송경화 기자
freehw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