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28일 오전 국회에서 바른정당 의원 전체회의가 열린 가운데 김세연 정책위의장(맨오른쪽)이 발언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바른정당이 새 원내대표 합의추대에 실패하고 일단 김세연 정책위의장이 원내대표 권한대행을 맡는 현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유의동 바른정당 수석대변인은 17일 “현재 공석인 원내대표 직은 당헌 제54조와 관련 당규 제24조에 따라 전임 원내대표의 잔여임기 동안 김세연 정책위의장이 대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바른정당은 잔여임기가 3개월 이내인 원내대표의 궐위 시 정책위의장이 대행을 겸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바른정당을 탈당한 주호영 전 원내대표의 임기는 12월 26일까지였다. 애초 바른정당은 지난 13일 새 지도부 출범 이후, 이른 시일 안에 원내대표를 합의 추대한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중진급 의원들이 상당수 탈당한 까닭에 원내대표 선출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보통 3선 이상 중진 의원이 원내대표를 맡는데, 현재 11명으로 줄어든 바른정당에서 3선 이상의 의원은 정병국(5선), 김세연(3선), 이학재(3선), 이혜훈(3선) 의원 등 4명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이혜훈 의원은 직전 당 대표를 지냈고, 정병국 의원은 초대 당 대표를 지내 일찌감치 후보군에서 제외됐다. 결국 이학재, 김세연 의원 가운데 원내대표를 맡아야 하지만, 두 의원 모두 고사했다고 한다. 이에 당내에서는 오신환 의원(재선)을 원내대표로 추대하는 방안도 논의했으나, 3선인 정책위의장과 맞지 않는다는 우려가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바른정당은 새 지도부 출범 5일 만인 이날 원내대표 ‘대행체제’를 선택했다. 바른정당 원내 비교섭단체가 되면서 국회 내 교섭단체의 대표로서 원내대표의 역할이 줄어 보일지 모르나, 오히려 물밑 움직임은 더욱 분주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과 중도보수통합 논의가 오가고 있는 상황에서 소통·협상 채널을 관리하는 역할도 원내대표의 몫이다. 집단 탈당으로 인한 특위·상임위 인원 조정 문제 등도 해결해야 한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