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춘석 사무총장이 지방선거와 관련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6·13 지방선거 광역단체장(광역시장·도지사) 선거에 출마하는 현역 의원 수를 최대 3명으로 제한하기로 했다. 원내 제1당(의석수)을 지키기 위해서다.
민주당 지방선거기획단장인 이춘석 사무총장은 5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지방선거에 현역 의원이 많이 출마하면 제1당과 ‘기호 1번’을 지키기 어렵다”며 “의원 출마가 가능한 숫자를 2명으로 하되, 극히 예외적으로 3명 정도 출마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민주당에선 일단 경남지사 출마를 고사해왔던 김경수 의원(경남 김해을)의 전략적 차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여기에 서울시장 선거를 포함해 출마 의사를 내비친 의원이 10여명이지만, 실제 내부 경선 통과자는 2명 안팎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사무총장의 이날 발언은, 수도권 일부와 충청권 일부, 의원이 아니어도 당선 가능성이 높은 호남에서 의원들이 아예 당 경선에 나서지 않는 방식의 ‘불출마 결심 퇴로’를 열어준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민주당이 의원 출마를 제한하는 것은 의석수(121석)에서 자유한국당(116석)과 별 차이가 없어서다. 국회의원이 지방선거 최종 후보가 되면 5월14일까지 사퇴해야 하는데, 후보 등록 마감일인 5월25일 기준으로 원내 최다 의석 정당이 선거 기호 1번을 갖는다. 또 의원 4년 임기의 절반인 5월30일 시점에서 원내 1당이 국회의장 배출 등의 주도권을 쥔다. 이 때문에 민주당에선 대구시장 불출마로 기운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뿐 아니라 지역에서 부산시장 출마 요구를 받던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등 의원직을 유지한 장관의 출마도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춘석 사무총장은 개인 의견임을 전제로, “의원이면서 장관을 하는 분들이 광역단체장 선거에 나가는 것을 국민이 쉽게 동의하겠나. 나도 쉽게 동의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당의 핵심 인사는 “의원이 의원직을 사퇴하고 출마하면 지방선거와 같이 치르는 보궐선거에서 그 지역구를 찾아와야 하는데, 김영춘 장관의 지역구(부산 진구갑)는 당의 다른 인물이 이기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