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째 표류하고 있는 국민연금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구성된 국회 국민연금특별위원회(위원장 이석현 열린우리당 의원)가 출발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특위는 29일 2차 전체회의를 열어 대국민 선언문 채택과 특위 내 운영위원회 구성 등을 의결하고 연금제도 개선 방안을 토론하기로 했지만, 특위 운영 방식을 놓고 입씨름만 벌이다 회의를 끝났다. 지난 16일 1차 회의는 여야 간사를 선임한 뒤 끝나, 이날 회의는 여야 국민연금 협상의 ‘첫 무대’였다.
특위는 애초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 방안, 재정 안정화 방안, 국민연금 운용기구 개편 문제 등 핵심 쟁점에 대한 생산적인 토론을 통해 내년 2월 말로 예정된 특위 활동 기간 안에 처리 방안을 기필코 마련하겠다는 각오로 임하겠다”는 내용의 ‘대국민 선언문’을 채택할 예정이었으나, 한나라당의 반대로 무산됐다. 한나라당 쪽 간사인 윤건영 의원은 “특위가 어려운 과업을 맡았는데, 선언문 채택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며 반대했다.
핵심 쟁점이 집중 논의될 운영위 구성 문제에 대해서도 참석 범위와 실효성 문제를 둘러싸고 여야 가릴 것 없이 의원들의 이견이 쏟아져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박재완 한나라당 의원은 운영위 구성에 대해 “옥상옥”이라며 반대했다. 양승조 열린우리당 의원도 “소위부터 구성하고 운영위 구성은 나중에 논의하자”고 거들었다. 김종인 민주당 의원은 “30~40년 뒤 일을 지금 논의해야 하느냐”며 특위 자체를 문제 삼았다.
애초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간사협의를 통해 이 위원장을 포함해 두 당 소속 의원 7명으로 운영위를 구성해 큰 틀의 합의를 도출한 뒤, 재정건전화 소위와 기금운영관리체계 소위를 구성해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기로 합의했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