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제2기 혁신위원회 혁신안 발표 행사에서 입술을 오므리고 있다.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좌파 정권의 위장평화쇼”라며 남북, 북-미 정상회담을 깎아내리던 자유한국당이 뒤늦게 환영 의사를 밝히며 방향을 살짝 틀기 시작했다. 보수진영에서도 ‘한반도 정세 대전환’으로 평가하는 상황에서 ‘나홀로 이념공세’만 해서는 안 된다는 현실적 판단에서다.
자유한국당 북핵폐기추진특별위원회(위원장 김무성)는 22일 발표한 ‘북핵 폐기와 남북, 미-북 정상회담 관련 입장’을 통해 “국가 안보에는 여야가 있을 수 없는 만큼, 우리 정치권은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남북, 미-북 정상회담이 궁극적으로 북핵 폐기라는 성공적인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당당하게 정상회담과 북핵 폐기 협상에 노력하는 한편, 국민들에게 현 상황을 투명하게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핵특위는 “갑작스러운 핵 포기 진정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위장평화 공세일 가능성도 높다”면서도 “경위야 어찌 됐든 정상회담을 환영한다. 최종 목표는 북핵 폐기가 되어야 한다. 그 전에는 결코 대북 경제제재를 해제·약화시켜서는 안 되며, 남북회담 중에도 한-미 연합훈련은 지속·강화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는 두 정상회담에 대한 자유한국당의 ‘공식 입장’이다. 앞서 북핵특위는 외부 전문가 등과의 회의·협의를 거쳐 입장문을 여러 차례 다듬었다. 당 관계자는 “한반도 정세가 180도 바뀌고 있는데 대외적으로 표출되는 당의 입장은 너무 과거에 묶여 있었다”고 했다.
반면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북핵특위 회의에 참석해서도 “위장평화쇼”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이 때문에 이날 입장 발표가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불거질 수 있는 ‘야당 무임승차’, ‘야당 책임론’에 대비한 면피용으로 쓰일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