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왼쪽 셋째) 자유한국당 당대표 권한대행과 안상수(맨 왼쪽) 혁신 비상대책위원회 준비위원장이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자유한국당이 6·13 지방선거 참패 수습에 나서고 있지만 당 재정비 기미가 보이지 않은 채 악화일로 상황으로 흐르고 있다. 혁신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기 위한 준비위원회가 무분별하게 비대위원장 후보군을 공개했다가 당사자들이 황당해하는 반응을 보이는가 하면, 당 내부에선 ‘네 탓 공방’의 혼돈이 이어지고 있다.
준비위는 비대위원장을 이르면 다음주 확정하겠다는 목표를 잡고, 지난 3일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 이정미 전 헌법재판관, 이국종 아주대 의대 교수 등 36명의 후보군을 추렸다고 밝혔다. 하지만 당사자 접촉도 않은 채 후보군이 알려진 뒤 “내 이름이 오르내리지 않았으면 좋겠다”(이정미 전 재판관) 등의 불편한 반응들이 나오고 있다. 자유한국당 노선과 결이 다른 인사들까지 후보군에 오른 데 대해 당에서도 반발이 나왔다. 김진태 의원은 “당 희화화를 넘어 자해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정종섭·김규환·김순례·성일종·윤상직·이종명·이은권 등 초선 의원 7명은 4일 성명서를 내어 구시대 인사들의 정치적 퇴장을 요구했다. 이들은 “구시대의 매듭을 짓고 새 인물들이 미래의 창을 열 수 있도록 책임져야 할 분들의 아름다운 결단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당에선 지도부 인사, 김무성 의원 등의 퇴진을 요청한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당에선 성명을 낸 초선 의원들 가운데 ‘친박근혜’ 행보를 했던 의원들이 눈에 띈다며, 통렬한 자기 성찰 없는 성명이란 의견도 흘러나왔다.
초선 성명에 이어 일부 중진과 친박 의원들이 이날 지도부 사퇴를 묻기 위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했다. 5선 중진 심재철 의원은 이날 통화에서 “다른 의원 13명과 함께 의총 소집을 요구했다”며 “의총에서 김성태 당대표 권한대행의 신임을 묻는 표결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자유한국당은 비대위에 인적 쇄신 등 권한을 대폭 안기려는 김 권한대행 쪽과 비대위는 차기 전당대회로 가는 징검다리 구실에 그쳐야 한다는 일부 중진·친박계 등이 대립하고 있다. 의총 소집 요구에 대해 지도부의 한 인사는 “지도부를 흔들려는 의원들이 일부여서 흔들릴 가능성도 없다”며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