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8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영수증 없이 쓸 수 있는 특별활동비 폐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앞서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는 국회 특활비 폐지를 핵심으로 한 국회법 개정안을 이미 대표발의했다.
김 원내대표는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여야 원내대표들 간 의논이 필요하지만, 나눠먹기 식으로 가져가는 것은 폐지되는게 맞다고 생각한다”며 “국회가 이번 결산심사때부터 특활비 가운데 영수증 첨부해서 쓸 수 있는 건 투명하게 할 수 있도록 공개의 폭을 넓히는게 필요하고, (국정원 등 다른기관의) 예산을 파악해서 규모를 과감히 줄이는데 앞장서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정의당처럼 현재 지급받은 국회 특활비를 반납할 것인지에 대해선 “올해 예산에 (특활비 지급이 이미) 편성되어 있는데, 특활비를 받지 않았을 때 당 운영이 어떻게 되는지 원내부대표단과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제20대 국회 후반기 원 구성 협상 상황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은 운영위원장을, 자유한국당은 법사위원장을 맡기로 가닥이 잡혔다"며 “지난 금요일(6일) 원내대표 회동에서 어느 정도 정리됐고 그래서 이 논의가 급물살을 탈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의장단 선출은 만약 제1당이 국회의장을 가져가면 부의장 두 석은 제2, 3당이 순서대로 맡는 게 순리에 맞다"며 “상임위원장은 현재 18개 상임위를 의석수 비율대로 배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를 분리하자는 의견에 대해서는 “나눠 먹기 식으로 보여 국민적 시각이 곱지 않다"며 “국토교통위나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도 나눌 필요가 있는데, 국회법 개정사항이라 제도개선 논의를 더 하는게 맞다"고 밝혔다.
한편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기자간담회 이후 서면 논평을 내어 “후반기 원 구성 협상 중에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운영위원장을, 자유한국당이 법제사법위원장을 맡는 방향으로 합의했다는 것은 사실무근”이라며 “법사위는 집권여당인 민주당이 맡는 것이 마땅하다”고 밝혔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