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왼쪽 세번째)가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북핵외교안보특별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의 새 대표를 뽑는 2·27 전당대회 날짜가 제2차 북-미 정상회담 일정(27~28일)과 겹치자 한국당에 ‘비상’이 걸렸다. 전당대회 효과가 북-미 정상회담에 묻힐 우려 때문이다. 당권 주자 대부분은 전당대회 연기를 요청했고, 당은 일정 변경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한국당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 부위원장인 김석기 의원은 6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8일 선관위 회의에서 일정 변경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며 앞서 7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도 우선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은 황교안 전 국무총리, 홍준표 전 대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이 전당대회에 나서기로 하면서 모처럼 여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당 지지율도 ‘국정농단 사태’ 이후 최고치로 올랐다. 여세를 몰아 전당대회 같은 정치 이벤트를 통해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컨벤션 효과’를 노렸으나, 세계의 이목이 집중될 북-미 정상회담과 일정이 겹치면서 이런 기대가 무너질 상황에 놓였다.
그러자 홍준표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지난해 지방선거 하루 전 싱가포르에서 (제1차) 미-북 회담이 개최된 것과 같은 모습이다. 당은 전당대회를 한달 이상 미루어 지방선거 때처럼 저들의 책략에 당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당의 중요 행사가 외부 요인으로 영향 받는 건 적절치 않다”고 밝혔고 심재철·정우택·주호영·안상수·김진태 의원 등 다른 출마자들도 연기를 주장했다. 황교안 전 총리는 “일정대로 가는 게 바람직하지만 당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해 결정하면 존중하겠다”고 말했다.
당에서는 일정 변경 여부를 검토하겠지만 확정된 장소·일정을 바꾸기가 쉽지 않다는 분위기도 있다. 당 선관위의 한 관계자는 “합동연설회, 텔레비전 토론 등 일정이 복잡하고, 장소 섭외가 특히 어렵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협조도 다 마쳤는데 새로 또 하기가 쉽지 않다”고 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전당대회는 후보 간 유불리가 있어 정해진 수순대로 가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