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당 대표 선거에 나선 오세훈·김진태·황교안 후보(왼쪽부터)가 17일 당 인터넷 토론회에 앞서 손을 맞잡고 있다. 자유한국당 제공
2·27 자유한국당 당 대표 선거에 나선 황교안·오세훈·김진태 후보(기호순)가 두 차례 토론회를 거치며 본격적으로 각자 색깔을 드러내고 있다. 김진태 후보가 ‘강성 보수’, 오세훈 후보가 ‘중도 보수’를 부각하는 가운데, 황교안 후보는 원론적인 답변을 하며 민감한 현안을 피해 가는 전략을 썼다.
■ 황교안 ‘원칙론’에 김진태 “어정쩡하다”
17일 당 선거관리위원회가 주최한 인터넷 토론회에서 세 후보는 경제·안보 분야 구상과 차기 총선을 위한 외연 확장 방안 등을 놓고 토론했다. 오세훈 후보가 황교안 후보에게 전시작전권 전환과 삼축체계 관련 소신을 물었다. 황 후보는 “전작권은 시기 문제가 아니라 조건에 맞는 전환이 필요하다. 어떤 상황에서도 국민의 안전·안보가 우선이다”라고 답했으며 삼축체계 관련해서는 “삼축체계를 회복해 우리 안보를 튼튼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진태 후보가 황 후보에게 “황 후보 말씀은 다 맞는 말인데 어느 한쪽도 포기하지 않으려는 어정쩡한 모습도 비친다”고 말했다.
황 후보와 김 후보는 이어 협력이익공유제 문제로 공방을 벌였다. 김 후보는 “예컨대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 입장을 밝혔는데, 협력이익공유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첨예하게 대립한다. 이에 대해 어떤 입장인가”라고 물었다. 황 후보는 “시장경제의 근간이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협력이익공유제는 ‘정도의 문제’에 달려있다. 원칙에 입각해서 경제적 약자와 함께 가야 한다”며 “어정쩡한 입장이라는 데는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는 다시 “여당의 협력이익공유제 법에 찬성인가, 반대인가”라고 물었고, 황 후보는 “시장경제에 반하는 입법은 신중히 해야 하고 내용도 여러 의견을 잘 들어 합리적으로 해야 한다”고 답했다. 김 후보가 “찬성할수도 반대할수도 있다는 건가”라고 재차 입장을 묻자 황 후보는 “합리적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 “중도층 마음 얻어야” vs “주사파 정권과 싸워야”
오세훈 후보와 김진태 후보는 노선 차이를 뚜렷이 했다. 오 후보는 “영국 보수당은 변화와 혁신을 통해 존재를 입증해왔다. 평범한 이웃, 중도층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는 제가 당 대표가 돼야 무너진 보수를 일으켜 세우고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김진태 후보는 “지금은 비상상황이다. 현 정권은 주사파·사회주의 이념으로 똘똘 뭉치는데 우리는 중도다, 포용이다 할 때가 아니다. 정체성을 더욱 확고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박근혜 전 대통령 문제, 지난해 지방선거 관련 행보를 놓고도 설전을 벌였다. 김 후보가 “박근혜 전 대통령이 무상급식 주민투표 때 자신을 도와주지 않았다고 서운함을 표했는데, 당에서 말렸던 것을 그렇게 표현하면 과하지 않나?”라고 했다. 오 후보는 “무상급식 중단(주민투표)은 서울시민 90만명이 주민등록번호를 공개하면서 서명했고 우리 당원들도 대부분 서명했다. 당이 반대했다는 것은 당시 상황을 잘 모르는 김 후보가 아전인수로 해석한 것”이라고 맞받았다.
김 후보는 “오 후보가 선거 때 지원유세를 많이 다니며 당에 기여했다고 했는데,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당이 바란 건 서울시장 후보로 나가는 것이었다. 당이 원하는 건 안 하면서 지원유세만 다녔다”고 공격했다. 이에 오 후보는 “고민이 깊었다. 주변 의견은 반반이었다. 서울시장을 중도사퇴했는데 그 자리에 다시 나가는 것 자체가 표심을 얻기 어렵다는 말이 가장 신경 쓰였다”면서 “당시 홍준표 대표가 진심을 담아 선거에 최선을 다하도록 분위기를 만들고 영입하는 게 아니었고, 홍 대표가 지방선거의 장애 사유로 등장하면서 홍 대표의 도움을 받아 출마하면 홍 대표와 노선을 달리 해 선거를 치르는 게 쉽지 않았다. 여러 상황을 고려한 고육지책이었다”고 해명했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