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대표.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조국 논란’과 관련해 말을 아껴오던 정의당 지도부가 언론과 야당이 제기한 여러 편법·특혜 의혹에 대응하는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태도를 공개 비판했다. 다만 여론몰이식 검증으로 후보자의 거취가 결정되도록 해서는 안 된다며 청문회 개최를 통한 공개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22일 당 상무위원회에서 “조 후보자는 ‘위법이냐 아니냐’의 법적 잣대를 기준으로 의혹에 대응해왔지만, 조 후보자의 딸에 대한 국민의 분노와 허탈함은 법적 잣대 이전의 문제”라며 “20·30대는 상실감과 분노를, 40·50대는 상대적 박탈감을, 60·70대는 진보진영에 대한 혐오를 표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늘 조 후보자에게 소명요청서를 보낼 예정이다. 조 후보자의 정확한 해명과 실체적 진실을 바탕으로 검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정미 의원도 이날 <한국방송>(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청문회가 이루어지지 않고 여론몰이식으로 된다 안 된다, 어느 편에 설 거냐, 이런 것을 강요하는 방식으로는 제대로 된 판단을 내리기 어렵다. 국민들이 원하는 건 흥신소가 아니라 청문회”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해명을 철저히 듣고 국민의 눈높이에서 최종 결정을 하게 될 것”이라면서도 “정의당이 단지 조국이기 때문에 무조건 오케이할 것이라 예상한다면 착각”이라고 강조했다.
후보자 지명 뒤 불거진 조 후보자와 가족의 의혹들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하면서도 ‘청문회를 통해 소명 기회를 주자’는 절충론을 해법으로 제시한 셈이다. 정의당의 이런 태도에는 이달 말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활동 종료 시점을 앞두고 선거제도 개혁을 위해 공조해온 더불어민주당과의 관계를 악화시켜서는 곤란하다는 정치적 판단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원들 상당수가 여전히 조 후보자에 대한 비판을 ‘보수 세력의 정치적 공세’로 여기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정의당은 청문회와 별개로 조 후보자에 대한 당 차원의 검증도 추진할 방침이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소속된 의원이 없어 국회의 청문 절차에 직접 관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조 후보자 인사청문회 준비단은 정의당을 직접 찾아가 각종 의혹에 대해 직접 설명하기로 하고 일정을 조율 중이다.
이지혜 기자
god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