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사무총장을 지낸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이 8일 국회에서 열린 글로벌외교안보포럼 창립세미나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엔 사무총장을 지낸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이 8일 현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해 “북한에 구걸하는 태도를 보이지 말라”고 지적했다. 정부·여당에서 추진하는 ‘한반도 종전선언’에 대해서는 “크게 매달릴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미래통합당 주도로 열린 ‘글로벌 외교안보포럼’ 기조연설에서 “(남북관계는) 상호존중과 호혜의 원칙이 적용돼야 한다. 너무나 일방적으로 북한의 입장을 이해하고 옹호하는 듯한 태도를 취하는 경우 계속 북한에 끌려다니는 상황이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반 위원장은 “통일부 장관, 청와대 안보실장, 국가정보원장을 새로 지명했다. 좋은 구상을 하겠지만 너무 단기에 (갈등) 국면을 해소하려고 하면 점점 더 어려운 위치에 가게 된다. 조급한 마음을 갖지 말라”고 조언했다. 이어 ‘한반도 종전선언’을 언급하며 “북한이 종전선언에 움직일 리도 없고, 관심도 없을 것”이라며 “종전선언이 돼도 모든 걸 백지화하는 북의 행태에 비춰 보면 크게 의미 없다”고 지적했다.
반 위원장은 북한의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에 대한 정부의 대응도 비판했다. 반 위원장은 “(북한이) 도발 행위를 아무런 자책도 없이 자행했는데, 그 과정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취한 미온적 대응에 크게 실망했다”고 밝혔다. 반 위원장은 이어 “(여권의) 일부 책임 있는 지위에 있는 정치인들이 한미 군사훈련 중단, 주한미군 감축을 거론하는 데 대해 참으로 개탄스럽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추진하는 3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반 위원장은 “일각에서 ‘옥토버 서프라이즈(10월의 막판 변수)’라고 해서 미 대선을 앞두고 북미 회담을 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하는데, 북한도 여러 정세를 꿰뚫고 있다”며 “그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이주빈 기자
ye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