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발언 막아 잠잠하던 채널들
박원순 죽음뒤 막말·음모론 활개
법원은 가짜뉴스 유튜버에 실형
통합당도 거리 둬 “엮이지 않을것”
박원순 죽음뒤 막말·음모론 활개
법원은 가짜뉴스 유튜버에 실형
통합당도 거리 둬 “엮이지 않을것”
‘보수 유튜브’라고 다 같은 ‘보수’가 아니야!
총선 부정선거·김종인 좌클릭 놓고 분열
이슈 따라 나뉘며 수익 양극화도 심해져
“투표 진실 찾기에 어마어마한 비용이 지금 계속 들어갑니다. 여러분들이 도와주시지 않으면 저희가 끝까지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1억4465만원. 4·15총선 이후 두 달 사이 보수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가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는 영상으로만 벌어들인 ‘슈퍼챗’(유튜브 실시간 방송에서 참여자들이 보내는 후원금) 수입이다. 이 채널은 현재까지 8억5735만원의 누적 슈퍼챗으로 전세계 유튜브 채널을 통틀어 후원금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여기에 광고 수익 추정치(유튜브 분석 플랫폼 ‘녹스 인플루언서’ 기준)만 매달 최소 3198만원에서 최대 5561만원에 이른다. 24억원을 목표로 한 부정선거 의혹 펀딩과 방송 중에 안내되는 후원 계좌번호, 매달 1만원 이상씩 받는 정기후원자 등까지 고려하면 한 달 수익이 수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보수 유튜브 시장이 분열되면서 수익 양극화도 극심해지고 있다. 구독자 수가 나란히 고공행진을 거듭하던 보수 유튜버들의 수익을 극명하게 가른 이슈는 ‘4·15 총선 부정선거 의혹’이다.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는 유튜버는 후원금이 쏟아지며 급성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누적 슈퍼챗 세계 1위를 달리는 가로세로연구소가 대표적이다. ‘신의한수’(2억5933만원) ‘너알아티브이(TV)’(2억3247만원) 등도 뒤를 잇는다. ‘공병호티브이’는 두 달 사이 무려 7만5천명의 구독자가 늘면서 광고 수익이 크게 올랐다. 누적 슈퍼챗 후원금(7월19일 기준)이 가장 많은 국내 10위권 유튜브 채널 가운데 4곳이 보수 성향이다. 지난달 25일 10위권 보수 유튜브 채널 3곳이 영구 폐쇄 조치를 받기 직전에는 무려 7곳이 이름을 올렸다. 그중에서도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유튜브가 1·2·3·6·7·9위에 포진했고, 의혹을 부정하는 유튜브는 8위에 ‘펜앤드마이크 티브이’ 단 한 곳만 이름을 올렸다.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곳은 항상 보수 유튜브 사이에서 상위권을 차지해왔던 펜앤드마이크 티브이다. 총선이 끝나고 3개월 사이에 구독자가 3만9천여명 줄었다. ‘조갑제티브이’(1만4천명 감소) ‘김진티브이’(8천명 감소) 등도 마찬가지다. 이들을 저격하기 위한 유튜브 채널까지 등장했고 구독 취소 운동도 벌어지고 있다. 펜앤드마이크 정규재 대표는 “부정선거 의혹에 보수가 달려드는 데 이유가 있다. 장사해 먹기에 이렇게 좋은 소재가 없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최근 보수 유튜브 시장을 가른 이슈는 ‘평화의 우리집’ 고 손영미 소장 사인을 둘러싼 음모론과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의 ‘좌클릭’ 행보 등이다. 곽상도 통합당 의원이 제기한 손 소장 의문사 의혹은 당내에서는 힘을 받지 못했지만, 유튜브에서는 30만건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슈퍼챗도 쏟아졌다. 김종인 위원장에 대해서도 ‘노망’, ‘빨갱이’, ‘골칫덩어리 영감’ 등 도 넘은 혐오 표현이 등장하고, 이는 조회수로 이어졌다. 세월호나 5·18에 대한 혐오 발언도 여전히 단골 소재로 등장한다.
‘극단적 혐오’가 돈벌이 수단이 되는 보수 유튜브 시장에 최근 유튜브 본사가 뒤늦게 칼을 빼들었다. 지난달 25일 누적 슈퍼챗 세계 2위이던 보수 유튜버 채널 ‘GZSS’가 영구 폐쇄됐다. 부정선거 의혹은 물론 세월호나 5·18에 대한 혐오 발언뿐 아니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종인 위원장 등에 대한 원색적인 욕설도 난무하던 곳이다. 스스로를 ‘극우대통령’이라고 부르는 안정권씨는 ‘GZSS 티브이’ ‘GZSS 팀(TEAM)’ 두 채널을 운영하며, 슈퍼챗으로만 세계 7·12위(5억9808만원·4억6189만원, 6월23일 기준)를 기록할 정도로 높은 수익을 거뒀다. 이날 보수 유튜브 채널인 ‘김상진티브이’ ‘잔다르크 티브이2’ 등도 함께 폐쇄됐다. 유튜브 관계자는 “정책을 위반하는 콘텐츠(증오심 표현, 괴롭힘, 명의 도용 등)를 주로 다루는 채널 등은 폐쇄 기준이 된다”고 말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