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온라인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이 31일 새 당명으로 ‘국민의힘’을 잠정 확정했다. 당명 변경은 지난 2월 미래통합당으로 바꾼 뒤 반년 만이다.
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국회에서 회의를 열어 ‘국민의힘’ ‘한국의당’ ‘위하다’ 등 세가지 후보 중에 ‘국민의힘’을 새 당명으로 낙점했다. 당명 개정 실무를 총괄해온 김수민 홍보본부장은 브리핑에서 “국민으로부터 나오는 힘, 국민을 위해 행사하는 힘, 국민을 하나로 모으는 힘이라는 세가지 의미를 담았다. 기존 자산인 자유·보수·한국의 이미지를 탈피해서 탈이념적 정당으로 확장했으면 하는 국민들의 염원도 고려했다”고 밝혔다. 김종인 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국민이라는 단어 자체가 우리나라 헌법 정신에도 맞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새 당명은 이날 오전 열린 비대면 의원총회에서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쳤다. 의총에서는 ‘국민과 함께하자는 명쾌한 메시지다’라는 긍정적인 의견과 ‘국민의당과 비슷하다’ ‘재보궐선거와 대선을 치르기에는 너무 막연하다’ ‘국민들 여론을 더 수렴해봐야 한다’는 부정적 의견이 맞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의총에서는 새 정강·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견해가 나왔다고 한다. 한 중진의원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우리 당이 지향하는 가치가 많은데 기본소득을 앞에 내세워야 하는지 의문”이라며 “특히 4연임 금지에 대한 비판이 많았다. 선수는 국민이 만들어준 건데 그걸 인위적으로 자르는 게 맞는 것이냐”고 말했다. 새 당명과 정강·정책은 1일 상임전국위와 2일 전국위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이주빈 기자
ye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