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단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8일 ‘공정경제 3법’(상법·공정거래법·금융그룹감독법)과 관련해 “재벌의 독선적‧위법적인 운영을 막을 장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엠비엔>(MBN) ‘정운갑의 집중분석’에 출연해 “(기업의) 투명성을 높이는 쪽으로는 국민의힘도 전향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선진국 등 다른 나라에는 없는 재벌‧오너 리스크를 줄이고 기업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는 쪽으로 바꾸는 게 필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다만 주 원내대표는 상법 개정안 조항에 대해서는 보완할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업이 우려하는 것처럼 (공정경제3법으로) 헤지펀드들의 기업사냥에 노출되거나 중요한 영업 비밀이 새어 나갈 위험을 막을 장치를 둘 것”을 조건으로 걸었다.
상법 개정안에는 감사위원 중 1명 이상을 이사와 분리해 독립적인 인물로 선출하는 제도가 담겼다. 이를 위해 감사위원을 선출할 때 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이 행사할 수 있는 의결권이 3% 이내로 제한된다. 총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립적으로 경영활동을 감시하도록 한다는 취지다. 이에 대해 재계는 3% 이하의 지분을 가진 해외 투기자본이 몰려들어 감사위원을 앉히고 경영 관련 비밀정보를 빼갈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국감이 끝나면 정책의총을 열어 공정경제3법에 대한 입장을 정리할 예정이다. 주 원내대표는 “가급적 (기업의 투명성을 높이는) 방향과 같이 갈 것”이라고 했다.
이주빈 기자 ye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