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의원연맹 회장인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 등 여야 국회의원들이 12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일본으로 출국하기 전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한-일 의원연맹 회장 자격으로 일본을 방문해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를 만난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일 관계 개선을 바라는 일본 쪽의 의사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다만 스가 총리는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에 대해 한국이 먼저 “진전된 입장”을 내놓으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김 의원은 16일 <기독교방송>(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스가 총리와의 면담 결과를 전하며 “양국 관계를 이대로 놔 두면 안 된다, 개선해야 한다는 의지를 서로 확실히 확인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스가 총리가 징용공 문제 해결을 위해서 한국이 진전된 입장을 내놨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한두 차례 계속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을 비롯한 한-일 의원연맹 소속 여야 의원들은 지난 12일부터 2박3일 동안 일본을 방문했다.
김 의원은 이날 <한국방송>(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도 나와 “최근 (일본을 다녀온) 박지원 국정원장 (방문) 때도 그랬고 저와 만났을 때도 (스가 총리가) 똑같이 ‘한-일 관계가 건전한 관계로 발전하기 위해선 징용 문제에 대해서 한국 정부의 진전된 입장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반복적으로 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의 말을 들어보면, 일본은 ‘1965년 청구권 협정으로 한-일 관계의 채권, 채무는 모두 정산이 됐는데, 한국 대법원이 이를 무시하고 판결을 내렸으니 이 문제의 해결은 한국 정부가 해결할 일이다’라는 입장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김 의원은 “지난 2년 동안 (중략) 일본 쪽도 우리 쪽도 여러가지 대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결국 이제는 양국 정상들 간의 선택과 결단만 남아 있다”고 했다.
김 의원은 <한국방송> 인터뷰에서 “(반일, 반한 감정이 여전히 높아) 여건은 좋지 않다”며 “타결할 수 있으면 타결하는데 만일 이게 또 졸속 타결돼 (상황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견을 좁혀 합의안을 ‘타결’ 하는 것보다 관계 악화를 막기 위한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수출규제 문제를 먼저 해소하거나, 내년 여름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두 나라 간 교류 협력을 강화하는 등 신뢰를 쌓아가면 과거사 문제도 돌파구를 모색할 수 있다는 취지이기도 하다. 김 의원은 “일본이 받아들일 수 있는 대안을 우리도, 일본도 제시해놓은 게 있다. 그런 것들을 가지고 최대한 거리를 좁혀야 한다”고 했다.
한편, 김 의원은 이날 <와이티엔>(YTN) 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에도 출연해, 내년 초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출범한 뒤 한반도 정세에 대해 “바이든이 한국, 일본, 미국과의 3각 전략동맹을 굉장히 중시하는 입장이었다”며 “당연히 (한-일) 양국이 관계 개선에 압박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