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조합원들이 지난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 앞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명진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정부가 추진 중인 노동조합법 개정을 저지하고 노동자 권익 강화를 위한 이른바 ‘전태일 3법' 입법을 압박하기 위해
25일 총파업에 들어가기로 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민주노총에 집회 자제를 거듭 당부했다.
이낙연 민주당 대표는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해 “코로나 1~2차 유행때 국민의 배려와 인내를 통해 보름만에 안정을 찾았다. 이번에도 힘을 모아 빨리 극복해낼거라 믿는다”며 “이런 시기에 민주노총이 전국 여러곳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 계획이다. 국민 걱정을 감안해 집회 자제하는 현명한 결단해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김태년 원내대표도 “민주노총이 25일에 총파업과 함께 집회를 강행한다고 하는 것은 대단히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아무리 방역 수칙을 준수해도 코로나 대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오프라인 집회를 여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비대면 방식으로 얼마든 주장하고 소통 가능하다”며 “온국민이 코로나로 고통 겪는 시기에 민주노총이 해야 할 사회적 책임이 뭔지 생각해보길 바란다. 민주노총 집회에 정부는 원칙적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총파업 당일인 25일 노조 간부와 파업 참가자 등을 중심으로 전국 동시다발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어 29∼30일과 다음 달 2∼3일 집중 투쟁을 전개하고 국회 입법 상황에 따라서는 2차 총파업을 조직한다는 방침이다.
민주노총은 지난 19일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오는 25일 총파업을 하기로 결의했다. 이후 정부가 오는 24일부터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격상하기로 결정했지만, 민주노총은 총파업을 예정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한상진 민주노총 대변인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정부 방역 지침을 준수하며 총파업에 나설 계획”이라며 “100인 이하 등 수칙을 지키며 소규모 집회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