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새해 첫 국정수행 지지도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한국갤럽 조사 최저치인 38%로 떨어졌다. 12월 첫째주에 40% 밑으로 떨어진 지지도 수치는 좀처럼 반등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다.
최근 여러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에 대한 여론은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6일 실시된
한국갤럽 조사(전국 18살 이상 성인 1001명 대상·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포인트) 결과 긍정평가는 38%인 반면 부정평가는 55%로 정부 출범 이후 가장 높았다. 지난 4~6일
리얼미터가 <와이티엔>(YTN) 의뢰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발표한 여론조사(전국 만 18살 이상 성인 1505명 대상·신뢰수준 95%에 오차범위 ±2.5%포인트)에서도 문 대통령에 대한 부정평가는 61.2%로 최고치였다. 긍정은 35.1%였다.
민심이 나빠진 데엔 부동산 가격 상승부터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갈등, 백신 공급 논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부정평가 이유는 지난해 추석 이후부터 부동산 정책 문제가 계속 1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역대 정권들이 권력투쟁이나 측근비리 등으로 ‘
임기 말 증후군’을 보였던 것과는 조금 다른 양상이다. 이 탓에 청와대 내부에선 지지도 하락세에 신경을 곤두세우면서도 반전의 기회를 노리고 있다. 백신 도입 늑장 논란으로 바닥을 쳤던 여론이 세밑에 이뤄진 청와대와 내각의 ‘폭풍인사’를 거치며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는 해석도 있다.
청와대는 여러가지 카드를 준비중이다. 서울시장 출마가 유력한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장수 장관’인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의 후임자가 이르면 다음주께 지명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개각 발표 앞뒤로 예정된 신년사, 신년기자회견 등으로 국민과 소통을 강화하고, 2월 말부터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 지지율이 올라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는 설 전에 구체적인 주택공급 대책을 발표하면서 부동산 민심 달래기에도 나설 예정이다.
여론조사 업체 리얼미터와 한국갤럽의 문 대통령 평가 비교. 리얼미터 제공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