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당시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8년 4월27일 오후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문에 서명한 뒤 서로 손을 맞잡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018년 4·27 남북정상회담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건넨 이동저장장치(USB)에 담긴 에너지 지원 대책 내용이 조금씩 더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북한의 특정 지역에 대한 화력발전소 설비 개선과 함께 서해안과 동해안에 조력·풍력·태양열 등 신재생 에너지 생산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1일 통일부 관계자의 말을 들어보면, 당시 문 대통령이 유에스비에 담아 건넨 ‘신한반도경제구상’에서 에너지협력 내용은 ‘OO지역 등에 대한 화력발전소 설비개선과 함께 서해안은 조력, 동해안은 풍력과 태양열 등 신재생 에너지를 구축하겠다’는 방안이 포함됐다. 이 자료를 확인한 관계자는 “에너지 지원 관련한 분량은 한 쪽에 8~9줄 정도였고 이중 발전소 관련한 것은 두서너줄이었다. 설비를 개선해주겠다는 화력 발전소의 구체적 숫자는 없었다”고 전했다.
이밖에 에너지협력 부분엔 ‘동북아 수퍼그리드’ 구상이 담겼다. 동북아 수퍼그리드는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 등 5개국이 참여하는 초대형 신재생에너지 전력망 연결 사업인데, 여기에 북한도 포함해 전력망을 구축하는 아이디어를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중단된 개성공단의 송전을 다시 재개하려면 몇 년이 걸린다’는 취지의 내용도 포함됐다.
앞서 지난달 31일 통일부는 기자들에게 입장 자료를 배포해 “2018년 4·27 남북정상회담 당시 북측에 전달한 ‘한반도 신경제구상’에는 원전이라는 단어나 관련 내용은 전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