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들이 22일 국회 소통관에서 당 지도부에 요구하는 쇄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초선 의원들이 쇄신위원회 구성과 박원순·오거돈 전 시장의 성폭력 피해자를 향한 진정성 있는 사과를 지도부에 요구했다. 그러나 4·7 재보선 패배 뒤 보름이나 지난 시점에 나온 쇄신 요구안의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당 초선 의원 모임인 ‘더민초’는 22일 오후 국회 소통관 브리핑을 통해 “당의 근본적이고 지속적인 쇄신안 마련을 위한 당 쇄신위원회 구성”을 첫째 요구로 올렸다. 그러나 무엇을 쇄신하자는 건지, 어떤 작업을 위한 쇄신위인지 초선 의원들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초선 의원들은 또 “재보궐 선거의 원인이 된 성비위 사건에 대해 진심으로 반성하고 국민과 피해자에게 사죄한다”며 당 지도부에 “국민과 피해자가 받아들일 수 있는 진정성 있는 사과”도 요구했다. 마침 이들의 브리핑은 윤호중 원내대표 겸 비상대책위원장이 국립서울현충원을 방문해, 방명록에 “피해자님”을 향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글을 남긴 뒤였다. 이에 대해 더민초 운영위원장인 고영인 의원은 “(윤 원내대표의 사과는) 일정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국민과 피해자가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의 진정성 있는 사과는 별도로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윤 원내대표의 ‘방명록 사과’는 ‘진정성 있는 사과’가 아니라는 얘기다.
초선 의원들은 이어 △당·정·청 관계에서 민심이 반영될 수 있도록 당의 주도성 발휘 △의원 간 집단토론 활성화 등 당내 민주주의 강화도 요구했다. 윤 원내대표가 기용하겠다고 약속한 초선 부대표로는 민병덕·이수진(비례) 의원을 추천했다. 더민초는 자체적으로 여의도와 각 지역위원회에서 ‘쓴소리 경청텐트’를 운영하고 ‘세대별 심층토론회’를 개최해 민심을 수렴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초선 의원들이 발표한 쇄신안의 구체성이 떨어져 전면적인 쇄신으로 이어질지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한 초선 의원은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지역에 쓴소리 텐트를 만들어서 몇 사람 이야기를 듣는 게 쇄신이냐”고 지적했다. 이날 브리핑이 끝난 뒤에도 쇄신위의 역할과 기능이 뭔지, 보름 동안 다듬은 쇄신안의 내용이 미흡한 것 아닌지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이 쏟아졌다. 이에 대해 고영인 의원은 “반성은 저희가 여러 생각을 모아서 할 수 있는데 쇄신안은 지키지 못할 약속이 돼서는 안되기 때문에 신중하고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5월2일 당대표가 선출되면 (쇄신위가) 좀 더 체계적으로 갈 것이다. 쇄신위가 만들어지면 초선도 참여해야 한다고 요청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