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박용진 의원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잔디광장에서 제20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적으로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후발 대선 예비주자들이 경선 일정 확정을 요구하고 한-미 정상회담 백신 성과를 강조하며 이재명 경기지사 비판에 나섰다. 다음달 민주당 예비경선이 임박한 상황에서 ‘이재명 대세론’에 견제구를 던지는 모양새다.
박용진 의원은 24일 페이스북 글에서 “박스권에 갇힌 이재명 지사의 지지율이 과연 대세론이기는 하느냐. 역동적인 경선과정에서 검증되고 확인돼야 한다”며 △대선기획단 구성해 경선 일정 확정 △예비경선부터 분야별 티브이 토론회 5회 이상 개최 등을 당 지도부에 요구했다.
민주당 대선 후보자 선출 규정에 따르면, 예비후보가 7명 이상일 때 본경선 후보를 6명으로 제한하는 컷오프를 실시해야 한다. 이른바 ‘빅3’(이재명·이낙연·정세균) 후보와 이미 출마를 공식화한 박용진·이광재·김두관 의원, 양승조 충남지사까지 이미 7명이며 최문순 강원지사,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도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예비경선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흥행과 상호 검증을 위해선 예비경선부터 치열하게 진행돼야 한다는 게 박 의원의 주장이다.
박 의원은 이 지사를 겨냥해 “개헌에 대한 낮은 인식, ‘별장도 생필품’이라는 편향된 인식, 이재용 사면에 대한 입장 급변, 기본소득 만능론 등은 후보들간 치열한 검증과 절차탁마를 거쳐야 한다. 당내 1위 후보라고 부자 몸조심하듯 안전모드로 가서는 안 된다”고 꼬집었다.
정세균 전 총리도 이날 페북에 “문재인 대통령 방미 성과 중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은 아주 커다란 성과”라며 “그동안 정치권 일각에서는 백신 불안감을 부추기고 러시아 백신 도입 등을 주장하며 방역에 혼란을 가중시켰다”고 적었다. ‘백신 보릿고개’ 현상이 불거졌던 지난 4월 스푸트니크 브이 백신 도입 검토를 주장한 이 지사를 비판한 것이다. 정 전 총리는 “저는 코로나 방역 사령관을 지낸 사람으로서 (백신 논란이 불거진) 그때마다 ‘아무 걱정 마시라, 우리가 반드시 이긴다’라고 자신 있게 말씀 드려왔다”며 “제발 코로나를 이용한 정치화는 그만하자”고 덧붙였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