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대통령실

부동산·FTA 청와대발 정책에 ‘탄력’

등록 2006-07-03 19:24수정 2006-07-04 00:21

박남춘 청와대 인사수석(가운데)이 3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비롯한 3개 부처 등에 대한 개각 내용을 발표한 뒤 기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박남춘 청와대 인사수석(가운데)이 3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비롯한 3개 부처 등에 대한 개각 내용을 발표한 뒤 기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마지막 경제팀’ 노대통령 신임 ‘실세관료’ 포진
권오규-변양균 한솥밥 인연 긴밀 정책협조 기대
권 부총리 개방주의자 FTA 추진 가속도 붙을듯
노무현 대통령의 신임을 받는 실세 관료들이 사실상 ‘마지막 경제팀’의 전면에 나섰다. 이에 따라 현재 추진 중인 경제정책들이 더 강한 힘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권오규 경제부총리 내정자는 참여정부 이후 줄곧 청와대에서 근무해왔고, 변양균 청와대 정책실장 내정자는 기획예산처 장관으로 참여정부의 혁신업무를 주도해왔다.

세종로에서 과천으로=권오규 부총리 내정자는 참여정부 초기에는 이정우 실장, 최근에는 김병준 실장 밑에서 일하며, 청와대 정책라인의 한 축을 담당해왔다. 이런 점 때문에 재경부 차관보(2001.4~2002.7)까지 지냈지만, 이번 임명이 ‘4년 만의 귀환’보단 ‘청와대의 파견’처럼 비치고 있다.

한덕수 현 부총리나 권 내정자 모두 경제기획원(EPB) 출신이다. 개방론자, 실사구시 추구, 카리스마보단 합리성을 좇는 등 사고방식이나 스타일도 비슷하다. 그렇지만 권 내정자에게서 무게감이 더 느껴지는 이유는 역시 ‘청와대의 힘’ 때문이다. 한 부총리는 청와대 및 정치권과의 조율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게 사실이다. 특히 올 들어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 등 정치권 인사의 입각 △선거를 전후해 김근태 의장과 강봉균 정책위의장 등 당 입김 강화 △외환은행 사건 등으로 인한 전·현직 재경부 관료들에 대한 검찰수사 등이 겹치면서 더욱 입지가 좁아졌다. 또 부동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해 재경부보다 청와대가 더, 먼저 목소리를 높일 때도 많았다. 권 내정자는 이 점에서 한 부총리에 비해 유리하다. 변양균 청와대 정책실장 내정자는 3일 기획예산처를 떠나면서 “재경부가 경제정책의 중심이며, 재경부가 리드하도록 도와주는 게 내 일”이라고 밝혔다. 앞으로 재경부가 부처 간 조율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셈이다. 그는 개인적으로도 대외조정 역할에 뛰어나다는 평을 듣고 있다.

더욱이 관료와 학자 출신으로 묶여진 한덕수-김병준 체제가 조금 딱딱한 공식적 관계를 벗어나기 힘들었던 데 반해, 권오규-변양균 투톱 시스템은 과거 경제기획원에서 한솥밥을 먹으며 커왔다는 점에서 긴밀한 정책협조를 기대할 수도 있다.


산적한 과제들=새 경제팀은 새로운 일을 만들기보단 진행과정에 있는 부동산, 자유무역협정 등 정책과제들을 마무리짓는 데 더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기득권층 저항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부동산 정책은 권 내정자도 깊숙이 관여해온 사안이다. 권 내정자는 선거 이후, 부동산 세제를 고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때도 “한 번도 시행하지 않고 고친다는 건 말이 안된다”고 강하게 반대의사를 나타냈다. 변 정책실장 내정자도 기획예산처 장관 시절, 비슷한 의견을 내비쳤다. 참여정부가 가장 가시적인 성과를 보일 수 있는 분야가 ‘부동산’이라는 점에서 보유세 강화를 초점으로 하는 정책 뼈대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자유무역협정도 역시 부처 간 조율을 바탕으로 강하게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재경부 관계자는 “대통령이 자유무역협정에 대해 강한 의지를 갖고 있어 누가 와도 맞춰갈 수밖에 없겠지만, 권 실장 본인이 개방주의자여서 행보가 빠를 수 있다”고 말했다. 권 내정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뿐 아니라, 세계은행 경제조사관, 국제통화기금(IMF) 대리대사 등 다양한 국제업무 경험을 갖고 있는 국제통이기도 하다.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특히 국내 조정이 더 중요하다는 점에서 그의 정책조정 능력이 얼마나 힘을 발휘할지 주목거리다.

경기관리 문제에 대해선 엇갈린 전망이 존재한다. 권·변 내정자 모두 1970~80년대 경제부흥기에 경제기획원에서 일했고, 최근 경기하락 조짐을 두고 부양론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반기에는 경기부양론을 펴지 않겠느냐는 시각도 있지만, 정부가 ‘인위적 경기부양은 않는다’는 방침을 고수해 왔다는 점에서 재경부 안에서는 그 가능성을 낮게 보는 분위기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