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완 청와대 비서실장이 26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이날 국회 교착상태를 해소하고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에 대해 정부와 여야 대표들이 참여하는 ‘여·야·정 정치협상회의’를 구성할 것을 제안했다”고 발표하고 있다.
노 대통령 26일 ‘여·야·정 정치회의’제안…전례없어
노무현 대통령이 26일 제안한 ‘여ㆍ야ㆍ정 정치협상회의’는 대통령과 국무총리, 여야 대표.원내대표가 한 자리에 모여 국정현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과거 정치사에서 같은 전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하지만 참석 멤버는 다르지만, 임기말 초당적 국정운영이라는 취지가 과거 '영수회담'이나 '거국중립내각'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유사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노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들과 달리 여당 총재직을 내놓았고, 당ㆍ정 분리 원칙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에 '대통령=영수' 또는 '영수회담'이라는 표현을 꺼려 한다.
청와대는 야당이 영수회담 개최를 제안할 때 마다 "대통령이 당총재가 아닌 만큼 형식이 적절치 않다"고 강조해왔지만 이번에 제안된 여ㆍ야ㆍ정 정치협상회의는 집권여당의 '최대주주'로서 대통령이 직접 나서 야당 대표와 현안의 일괄타결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변형된 '영수회담'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영수회담은 과거 정부에서 여당 총재인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회동에서 막힌 정국현안을 일괄해서 처리하는 최고위급 회담으로 종종 열리곤 했다.
국민의 정부 시절인 지난 2000년 10월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와 영수회담을 갖고 장기파행 상태에 빠졌던 의약 분업문제 해결에 단초를 마련했고, 앞서 지난 1997년에는 여당의 노동법 날치기 처리 파동으로 정국이 일대 혼란에 휩싸이자 당시 김영삼(金泳三) 대통령이 김대중 국민회의 총재를 직접 만나 노동법 재개정 문제에 대한 정치적 타결로 수습의 돌파구를 열기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과거에는 영수회담 형식을 통해 정치적 타결을 본 사례들이 종종 있었고, 비록 영수회담은 아니더라도 여야 당3역의 정치적 협상으로 현안에 대한 타결을 본 사례도 많았다"고 말했다.
초당적 국정운영을 구조화시킨 중립내각구성은 지난 1992년 당시 노태우 대통령이 임기말 김영삼 민자당 대선후보와 갈등을 빚던 와중에 충남 연기군수의 관권선거 폭로로 그 해 9월 민자당을 탈당한 뒤 현승종 총리 내각을 출범시킨 것이 대표적이다.
이후 1997년 대선을 앞두고 중립내각 구성 요구에 직면한 김영삼 대통령은 신한국당 총재직을 내던진 뒤 탈당을 했지만, 고 건 당시 총리를 유임시키고 일부 각료의 당적을 정리하는 선에서 중립내각 구성 요구에 대처했다.
지난 2002년 당시 김대중 대통령도 대선을 불과 몇 달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세 아들의 비리의혹이 연거푸 터지자 민주당을 탈당했지만 일부 각료의 당적을 정리하는 선에서 중립내각 구성 요구에 맞선바 있다. 이상헌 기자 (서울=연합뉴스)
지난 2002년 당시 김대중 대통령도 대선을 불과 몇 달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서 세 아들의 비리의혹이 연거푸 터지자 민주당을 탈당했지만 일부 각료의 당적을 정리하는 선에서 중립내각 구성 요구에 맞선바 있다. 이상헌 기자 (서울=연합뉴스)
| |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