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발언은 `국회 발목잡기' 극복의지 표현”
대통령 정책특보인 김병준(金秉準) 정책기획위원장은 30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국무회의 탈당 시사 언급과 관련, "눈에 보이는 여권내 분열적 상황이 심화하고 더 커질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게 아닌가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후 KBS `라디오정보센터 박에스더입니다'에 출연, "노 대통령은 정치인으로 당적을 지키는 게 기본 입장"이라며 이같이 밝힌 뒤 "노 대통령이 (정치권의 정계개편과 관련해) 어떤 역할을 요구받을지, 할 수 있을 지 모르지만 최대한 분열적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경쓰실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의 이 같은 언급은 노 대통령이 이날 오전 청와대 참모들에게 "당적을 유지하는 것이 당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면 그렇게 할 것이고, 탈당을 하는 것이 당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며 `열린우리당 또는 창당정신 지키기'를 강조한 것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그는 "임기말이 되면서 대통령이 소속 정당의 당적을 정리하는 것을 여러번 봤다. 김대중 전 대통령, 김영삼 전 대통령이 다 그랬다"며 "이 분들도 정치인인데 당적으로 버리고 싶어 버린 건 아니라 생각한다. 상황이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되니까 탈당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노 대통령의 '임기' 관련 언급에 대해 김 위원장은 "그만큼 힘들다는 얘기 아니겠느냐"면서 "국방ㆍ사법 개혁법안, 비정규직법안 등 주요 개혁법안이 국회에서 발목이 잡혀 있는 굉장히 어려운 상황을 넘어서 보겠다는 의지의 표현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시비를 따질 별 이유도 없는 일도 대통령과 정부가 제안하면 시비나 쟁점의 대상이 되는 경우도 없지 않다"며 "헌재소장 처리과정도 대통령으로서 이해하기 힘든 일 아니었나 생각하며, 그래서 굴복이란 표현을 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의 언급을 푸념이나 국민 협박으로 표현하는 분도 있는데 그렇게 볼 사안이 아니다"면서 그 근거로 "임기 관련 얘기를 꺼내기 전에 필요하면 양보도 하고 굴복해서라도 국정의 큰 흐름을 잡아가겠다는 의지의 표명이 있었다"고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여당이 정책결정과정에서 소외되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단순히 그런 것 같지는 않다"며 "부동산 정책 관련 8.31 정책만 해도 당정협의 8차례, 의원총회 설명, 이른 바 8인회의, 11인회의 등 많은 노력을 거쳤다"고 반박했다.
그는 `대통령은 정치에서 손을 떼라'는 취지의 여당의 요구에 "대통령이 안보나 경제를 뒤로 비켜놓고 정치만을 생각하고 올인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 (서울=연합뉴스)
그는 `대통령은 정치에서 손을 떼라'는 취지의 여당의 요구에 "대통령이 안보나 경제를 뒤로 비켜놓고 정치만을 생각하고 올인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상헌 기자 honeybe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