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당 회귀세력과 결별 불사"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30일 "열린우리당을 지킬 것"이라고 밝힌 것은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지역구도 극복'이란 여당의 창당정신을 절대 포기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 근저에는 여당 내에서 진행돼온 신당논의의 귀결이 사실상 '지역구도 회귀'라는 인식이 전제돼 있다.
이른바 통합신당이란 주장은 적어도 현 시점에서 말이 '통합'이지 그 내용은 내년 대선정국에서 지역주의를 통해 권력을 얻기 위한 '야합'에 불과하다는 판단이다.
노 대통령은 신당 반대 입장을 밝히며 "말이 신당이지 지역당을 만들자는 것"이라고 규정했다. 노 대통령이 통합신당의 성격에 대해 이처럼 분명하게 정의하면서 반대 입장을 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청와대는 그동안 "통합신당론이 어떤 형태로 어떤 모양을 갖고 있는지 정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얘기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며 공식 입장 표명을 유보해온 터였다.
노 대통령의 이날 통합신당에 대한 단호한 성격 규정은 설령 정권재창출에 실패하는 좌절을 겪더라도 나라가 다시 동서로 갈라져서는 안된다는 결의 마저 느껴지게 한다.
노 대통령은 정치입문 후 일관되게 지역주의와 맞서왔고, 이에 힘입어 권좌에 올랐다. 90년 호남을 고립시키는 3당 합당에 반대해 영남 민주화세력의 리더인 김영삼(金泳三.YS) 전 대통령과 결별하면서 고향인 부산에서 낙선했고, 95년 김대중(金大中.DJ) 전 대통령의 정계복귀와 함께 호남을 지역기반으로 한 야당을 다시 창당할 때에도 따라가지 않았다.
97년 대선 때는 영남출신 민주화 인사 대부분이 이회창(李會昌) 전 총재의 한나라당으로 옮긴 것과 달리 김대중 후보를 지지했고, 2000년에는 종로 지역구 의원직을 버리고 고향 부산에 출마했다가 낙선했다. 영남을 지역기반으로 한 한나라당에 지난해 대연정을 제안한 배경에도 "지역주의 극복은 내 필생의 과업"이라는 노 대통령의 '현실 비타협적' 태도가 담겨 있다. 그런 만큼 여당의 신당논의를 지지하는 것 자체가 노 대통령에게 받아들이기 힘든 선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신 지역주의 극복을 기치로 내걸고 출범한 여당의 창당정신과 정체성을 지키는 것이 노 대통령 자신에게 남겨진 숙명적 과제라고 판단한 듯하다. 노 대통령이 "당적을 유지하는 것이 당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면 그렇게 할 것이고, 탈당을 하는 것이 당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밝힌 것에 그런 단호함이 배어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열린우리당이 지역주의로 회귀하지 않고, 대통령이 언급한 당의 정체성을 지키며 외연을 확장시켜 나간다면 당을 지켜나갈 것이라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당의 정체성과 가치를 재고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결국 노 대통령이 말하는 '당'은 지역구도 타파라는 우리당의 창당정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노 대통령의 언급을 정치적 시각으로 넓혀 보면 여당발(發) 정계개편 흐름에 대한 의중을 밝힌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무엇보다 "다시 지역당 시대로 돌아갈 수 없다"는 언급은 호남을 지지기반으로, 반(反) 한나라당 전선을 구축하려는 여당 주류의 의도와는 배치된다. 지난해 미래과제를 던지며 한나라당에 "권력을 통째로 내주겠다"며 대연정을 제안했을 당시 표출됐던 '대통령=미래, 여당=현실'이란 좁힐 수 없는 차이를 다시 한번 드러낸 셈이다. 그때와 달라진 것이 있다면 노 대통령이 이번에 여당을 향해 공개적으로 결단을 요구하고 나섰다는 점이다. 여당으로서는 엄연한 현실일 수밖에 없는 지역주의의 유혹에 끌려 '통합신당'으로 갈 것이냐, 아니면 역사의 평가를 받기 위해 창당정신을 유지할 것이냐 가운데 택일하라는 것이다. 여기에는 당내 신당논의가 결국 지역주의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며, 그 연장선에서 최근 '대통령 때리기'가 시작됐다는 판단이 작용한 듯하다. 실제 청와대 내부에선 김근태(金槿泰) 의장의 대통령 회동제의 거부 등 최근 당ㆍ청 갈등이 정계개편과 당내 대선구도의 주도권을 노린 것으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고 이를 기정사실화하는 목소리가 실제보다 과장돼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대통령 탈당이 마치 당론인 것처럼 알려져 있지만 막상 조사해보면 탈당의견은 그렇게 많지 않다"며 "당이 앞으로 누구와 함께 어떻게 갈거냐에 대해 전략적으로 논의하고 판단하지 못하니까 우왕좌왕하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다른 관계자는 "일부 언론들이 평소 목소리가 큰 의원 20∼30명의 말만 전하다 보니 시끄럽게 보일 뿐 실제 당의 밑바닥 정서는 알려진 것과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노 대통령의 "당을 지킬 것"이라는 언급은 '지역당' 세력과 결별도 감수하겠다는 뜻으로도 읽을 수 있다. 노 대통령이 "탈당을 하는 것이 당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그 이면에는 "지역당으로는 어떤 시대적 명분도 실리도 얻을 것이 없다"는 노 대통령 나름의 '대선 수읽기'가 깔려 있다. 이제 관심은 탈당문제에 대한 노 대통령의 단호한 입장 표명에 여당이 어떻게 중지를 모아갈 것이냐에 쏠릴 전망이다. 노 대통령이 '당을 떠나달라'는 여당에 다시 공을 넘긴 형국이다. 노 대통령 발언은 열린우리당내 당 사수파와 신당파로간 전선을 분명히 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 높다. 노 대통령의 '당 사수' 발언은 그래서 '전효숙 파동'으로 초래된 조기 레임덕 위기에 대한 돌파구를 모색하는 동시에 정치지형의 근본적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정치적 승부수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재현 기자 j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97년 대선 때는 영남출신 민주화 인사 대부분이 이회창(李會昌) 전 총재의 한나라당으로 옮긴 것과 달리 김대중 후보를 지지했고, 2000년에는 종로 지역구 의원직을 버리고 고향 부산에 출마했다가 낙선했다. 영남을 지역기반으로 한 한나라당에 지난해 대연정을 제안한 배경에도 "지역주의 극복은 내 필생의 과업"이라는 노 대통령의 '현실 비타협적' 태도가 담겨 있다. 그런 만큼 여당의 신당논의를 지지하는 것 자체가 노 대통령에게 받아들이기 힘든 선택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신 지역주의 극복을 기치로 내걸고 출범한 여당의 창당정신과 정체성을 지키는 것이 노 대통령 자신에게 남겨진 숙명적 과제라고 판단한 듯하다. 노 대통령이 "당적을 유지하는 것이 당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면 그렇게 할 것이고, 탈당을 하는 것이 당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밝힌 것에 그런 단호함이 배어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열린우리당이 지역주의로 회귀하지 않고, 대통령이 언급한 당의 정체성을 지키며 외연을 확장시켜 나간다면 당을 지켜나갈 것이라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당의 정체성과 가치를 재고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결국 노 대통령이 말하는 '당'은 지역구도 타파라는 우리당의 창당정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노 대통령의 언급을 정치적 시각으로 넓혀 보면 여당발(發) 정계개편 흐름에 대한 의중을 밝힌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무엇보다 "다시 지역당 시대로 돌아갈 수 없다"는 언급은 호남을 지지기반으로, 반(反) 한나라당 전선을 구축하려는 여당 주류의 의도와는 배치된다. 지난해 미래과제를 던지며 한나라당에 "권력을 통째로 내주겠다"며 대연정을 제안했을 당시 표출됐던 '대통령=미래, 여당=현실'이란 좁힐 수 없는 차이를 다시 한번 드러낸 셈이다. 그때와 달라진 것이 있다면 노 대통령이 이번에 여당을 향해 공개적으로 결단을 요구하고 나섰다는 점이다. 여당으로서는 엄연한 현실일 수밖에 없는 지역주의의 유혹에 끌려 '통합신당'으로 갈 것이냐, 아니면 역사의 평가를 받기 위해 창당정신을 유지할 것이냐 가운데 택일하라는 것이다. 여기에는 당내 신당논의가 결국 지역주의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며, 그 연장선에서 최근 '대통령 때리기'가 시작됐다는 판단이 작용한 듯하다. 실제 청와대 내부에선 김근태(金槿泰) 의장의 대통령 회동제의 거부 등 최근 당ㆍ청 갈등이 정계개편과 당내 대선구도의 주도권을 노린 것으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고 이를 기정사실화하는 목소리가 실제보다 과장돼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대통령 탈당이 마치 당론인 것처럼 알려져 있지만 막상 조사해보면 탈당의견은 그렇게 많지 않다"며 "당이 앞으로 누구와 함께 어떻게 갈거냐에 대해 전략적으로 논의하고 판단하지 못하니까 우왕좌왕하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다른 관계자는 "일부 언론들이 평소 목소리가 큰 의원 20∼30명의 말만 전하다 보니 시끄럽게 보일 뿐 실제 당의 밑바닥 정서는 알려진 것과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노 대통령의 "당을 지킬 것"이라는 언급은 '지역당' 세력과 결별도 감수하겠다는 뜻으로도 읽을 수 있다. 노 대통령이 "탈당을 하는 것이 당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그 이면에는 "지역당으로는 어떤 시대적 명분도 실리도 얻을 것이 없다"는 노 대통령 나름의 '대선 수읽기'가 깔려 있다. 이제 관심은 탈당문제에 대한 노 대통령의 단호한 입장 표명에 여당이 어떻게 중지를 모아갈 것이냐에 쏠릴 전망이다. 노 대통령이 '당을 떠나달라'는 여당에 다시 공을 넘긴 형국이다. 노 대통령 발언은 열린우리당내 당 사수파와 신당파로간 전선을 분명히 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 높다. 노 대통령의 '당 사수' 발언은 그래서 '전효숙 파동'으로 초래된 조기 레임덕 위기에 대한 돌파구를 모색하는 동시에 정치지형의 근본적 변화를 야기할 수 있는 정치적 승부수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재현 기자 jahn@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