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고 전 총리 전방위 공격
청와대, 연일 ‘고건때리기’ 의도는
노대통령 진의 무시 정치적 이용에 격분
통합신당 유력 대안 사전 봉쇄 계산도 노무현 대통령과 청와대가 고건 전 총리를 겨냥해 전방위적 공세를 퍼붓고 있다. 노 대통령의 ‘실패한 인사’ 발언으로 시작된 양쪽의 공방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에도 불구하고, 청와대는 24일에도 공격 수위를 높였다. 노 대통령이 전면에 나선 압박전에선 결기마저 느껴진다. 청와대는 표면적으론 “고 전 총리를 중재자로 내세워 뿌리깊은 이념적·정치적 갈등을 해소하려 한 집권 초반의 구상이 실패했다”는 노 대통령의 민주평통 발언을 고 전 총리가 왜곡한 만큼 이를 바로잡겠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그 이면엔, 고 전 총리가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해 노 대통령과의 차별화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는 데 대한 감정적 반발의 메시지가 깔려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청와대 정무 분야의 핵심 관계자는 “여권의 대통령 후보가 되겠다는 사람이 최소한 대통령과 총리가 관련된 문제에 대해 충분히 그 진의를 확인할 수 있음에도 이를 의도적으로 무시한 채 일방적 비방에 나선 것은 다음 대선을 고려한 정치적 계산이 깔린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대통령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걸 두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를 보는 청와대의 인식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청와대 홍보수석실이 이날 <청와대 브리핑>에 올린 글에서 “기자들도 다른 매체의 보도만 보고 기사를 쓰지 않는데, 하물며 신중하기로 소문난 고 전 총리가 대통령 사이에 빚어진 일을 확인도 않고 비방부터 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청와대의 강공에는 고 전 총리가 이른바 통합신당론을 매개로 여권의 유력한 대안으로 굳어지는 걸 사전에 차단하려는 정치적 계산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이 고 전 총리의 반박 성명에 직접 유감을 표시하고, 핵심 측근들이 잇따라 “고 전 총리가 이념적, 사회적 분열을 치유하는 매개자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고 비판하는 것은 지지자들에게 “고건으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친노 세력들 사이에선 “대통령이 할 말을 했다”는 정서가 확산되면서 재결집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청와대 일부에선 “정치인인 고 전 총리의 대응을 그냥 무시해도 될텐데, 자꾸 청와대에서 정면으로 대응해 일을 키우고 있다”는 비판론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청와대의 한 비서관은 “대통령이 전직 총리와 맞붙는 모습을 보일 일이 아니다. 지금은 그렇게 대응할 시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