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욱 성우회 정책실장(마이크 앞에 선 이)이 26일 오전 서울 신천동 향군회관 회의실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군 관련 발언 취소와 사과를 요구하는 성명을 낭독하고 있다. 뒤로 군 지휘부 출신 예비역 장성들이 서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역대 군 수뇌부 73명 요구…노대통령 “절제안된 표현 미안”
전직 국방장관과 합참의장 등 역대 군 지휘부 출신 예비역 장성 73명은 26일 오전 서울 송파구 대한민국재향군인회 회의실에서 모임을 열고, 노무현 대통령의 최근 군 관련 발언에 대해 취소와 사과를 요구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국가안보를 위해 일생을 바쳐온 우리는 12월21일 행한 대통령의 연설을 듣고 우리 국민과 국군, 헌법을 모독하고 신성한 국방의무를 폄훼한 데 대해 실망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노 대통령은 이 국가비상 시기에 대한민국 대통령 및 국군 총사령관으로서 헌법에 명시된 책무를 성실히 수행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노 대통령이 민주평통자문회의 제50차 상임위원회에서 한 발언의 몇몇 대목을 꼽으며 일일이 반박했다. 먼저 ‘젊은이들이 군대에 가서 몇 년씩 썩히지 말고…’라고 한 데 대해 “70만 국군 장병들에 대한 심각한 모독인 동시에 신성한 국토방위 의무를 폄훼한 발언”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청와대 고위관계자가 밝힌 군 복무기간 단축 검토에 대해서도 “군 인력수급의 어려움과 전투력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정치적 목적으로 군 복무기간을 단축하려는 시도에 대해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김문기 재향군인회 대변인은 “노 대통령을 상대로 명예훼손(에 따른) 소송을 내자는 주장도 일부 있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대통령이 할 말은 한 것 같은데 표현 과정에서 좀 절제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서 이리 저리 시비에 휘말린다. 여러분 보기에 미안하다”며, 21일 연설에서 군과 관련한 거친 표현을 한 점에 대해 간접적으로 유감을 표시했다.
손원제, 신승근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