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26일 청와대에서 이병진 신임 국무조정실 기획차장 등 차관급 인사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격려 인사말을 하고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결심 이미 굳혀…택일만 남아
당내 수용-반대 엇갈린 반응
당내 수용-반대 엇갈린 반응
노무현 대통령이 새해 기자회견에서 열린우리당 탈당을 시사한 뒤 정치권의 관심은 “진짜 탈당할까, 탈당한다면 언제 할까?”로 쏠린다. 노 대통령이 여러 차례 “수석당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겠다”며 당적에 애착을 보여 온 탓이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26일 “(노 대통령은 열린우리당과) 끝까지 운명을 같이해야 한다”고 탈당에 반대했다. 노 대통령의 당적 유지가 12월 대선에서 한나라당에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열린우리당 안에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정동영 전 의장은 “대통령이 알아서 판단하라”고 말했지만, 신기남 전 의장은 “당적을 갖고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고 반대했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들은 “노 대통령의 탈당 결심은 되돌릴 수 없다”고 말한다. 시기는 2월 말쯤 ‘4년 중임 대통령제 개헌안’을 발의할 때가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청와대 정부 분야의 한 핵심 관계자는 “대통령 결심은 확고하다. (탈당 시기는) 택일만 남았다. 탈당하더라도 ‘열린우리당 중심으로 뭉쳐달라’는 당부 말고는 따로 제기할 조건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노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12월 중순께 열린우리당의 내분을 보면서, 핵심 참모들에게 ‘나 때문에 당이 분열하고 깨지는 것은 옳지 않다. 차라리 내가 탈당하는 게 올바른 선택이다’라는 말을 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말에 이미 탈당 결심을 굳혔다는 것이다.
많은 참모들은 노 대통령의 탈당 결심을 만류했다고 한다. 하지만 노 대통령은 ‘양극화 해소, 남북 공존, 대등한 한-미 관계 등 미래 과제들을 의제화하고 해결하자면 대선 후보가 누구냐는 것 만큼이나 열린우리당의 단합과 계승·발전이 중요하다’는 취지의 발언과 함께 탈당 의사를 거듭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일 노 대통령의 ‘4년 연임제 개헌’ 제안 이후엔 참모들 역시 탈당을 피할 수 없는 절차로 인식하고 구체적인 준비를 해 왔다고 한다.
노 대통령은 탈당 시점을 놓고 고민하다 2월 말 개헌안 정식 발의와 함께 탈당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또다른 핵심 관계자는 “2월14일 열린우리당의 전당대회 전후를 탈당 시점으로 놓고 고민했으나 그 무렵에 대통령의 국외순방 일정이 잡혀 있어 쉽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결국 순방을 마친 뒤 개헌 발의에 맞춰 탈당하는 쪽으로 큰 방향을 정리했다. 2월 말이 될 가능성이 제일 높다”고 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