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당한 노대통령, “열린우리 사수” 배경
정동영·김근태 두 전직 의장을 격하게 비판하는 노무현 대통령의 속내에 관심이 쏠린다. 열린우리당을 탈당한 뒤에도 여전히 당을 향한 ‘애정’을 보이는 그의 대선 셈법은 무엇일까?
당 진로에 관한 노 대통령의 공식 견해는 “원칙과 명분 있는 대통합신당에는 반대하지 않지만, 원칙 없는 신당보다는 열린우리당이 더 낫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노 대통령이 이번 대선을 포기하고 총선을 대비한 영남신당을 구상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나타낸다. 정동영 전 의장도 지난달 27일 대통령과 만남에서 대선 포기와 영남신당론에 대한 얘기를 듣고 싶었으나 명확한 해명을 듣지 못했다는 뜻을 측근들에게 밝혔다.
그러나 노 대통령 측근인 안희정씨는 “원칙을 지키면 승리할 수 있다. 원칙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청와대 관계자들도 “원칙과 대의를 버리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는 지극히 상식적인 정치 철학을 일관되고 실천하고 있을 뿐”이라며 노 대통령이 대선을 포기했다는 주장은 ‘모략’이라고 반박한다.
노 대통령은 지역주의적 통합에 따른 영남민주화 세력의 고립을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열린우리당과 민주당과의 통합은 지역회귀적이고, 이렇게 만들어지는 신당에서 영남 출신 인사들은 발 붙일 데가 없기 때문이란 것이다. 최근에 창립된 ‘참여정부 평가포럼’은 영남신당의 전단계라는 시각도 정치권에선 제기된다. 정청래 열린우리당 의원은 “참여정부 장·차관 출신들을 모아서 참여정부 정책을 평가하는 모임을 만든 것은 (총선을 앞두고) 출정을 대기하는 것 같은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청와대 정무팀은 그러나 “대통령은 지역간 대결과 분열을 극복하는 국민통합의 정치를 극복하는 국민통합의 정치를 실천해왔다”며 영남신당론도 부인한다.
열린우리당 강화와 민주노동당과의 연합이 노 대통령 대선 전략이었다는 관측도 있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달라는 열린우리당의 한 의원은 “지난해 안희정씨가 ‘이번에는 후보단일화가 어렵다고 본다. 민주노동당과의 연합전선이 괜찮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열린우리당을 잘 관리하다가 막판에 민주노동당과 선거연합을 하면 대선에서 이길 수 있으리란 전략이다. 그러나 한-미 자유무역협정 체결을 강행하면서 민주노동당과의 선거연합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남은 건 열린우리당 강화 전략 뿐이다. 이 의원은 “결국 열린우리당 틀 안에서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제)를 치를 수밖에 없으리란 생각을 노 대통령 측근들이 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