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노무현 대통령이 오는 2~4일 평양에서 열리는 2007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방북하는 길에 군사분계선을 걸어서 넘는 방안을 북쪽과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은 또 정상회담 마지막날인 4일 북한의 서해갑문을 시찰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6일 “노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위해 2일 북한에 들어갈 때 군사분계선을 걸어서 넘는 방안을 현재 북한쪽과 협의중”이라며 “군사적 긴장 지역에서 노 대통령의 움직임이 노출되는 문제 등 경호상 난점이 해결될 경우 걸어서 방북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이 남북 분단과 대립의 상징인 군사분계선을 직접 걸어넘는 방안이 남북간에 합의될 경우 남북 정상회담의 ‘평화메시지’는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북한 당국이 무장한 군인들이 밀집한 지역 특성상 경호상 허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최종 협의 결과가 주목된다.
노 대통령은 또 평양 방문 마지막 날인 4일 평안남도 남포시와 황해남도 은율군 사이의 대동강 하류에 있는 길이 8km의 서해갑문을 시찰할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노 대통령은 북한 방문 기간동안 북한의 산업 현실과 앞으로 발전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북한의 주요 산업시설 몇군데를 시찰할 것”이라며 “서해갑문에 들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22일 청와대에서 남북정상회담 준비기획단 회의를 열어 이번 정상회담의 공식 명칭을 ‘2007 남북정상회담’으로 결정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인사는 “정상회담 합의 초기 남북 정상회담 정례화를 지향한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나, 정상회담에는 차수를 붙이지 않는 외교적 관례와 북한도 차수를 쓰지 않고 ‘북남수뇌상봉’으로 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 명칭을 통일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