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중인 신문·방송 겸영 허용에 대해 우리나라 국민들의 3분의 2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사가 공중파방송 또는 보도전문채널을 소유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는 것과 관련해, 응답자 중 64.1%가 ‘소수 언론사의 여론 독점이 우려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했다. ‘방송통신산업의 경쟁력을 높인다는 차원에서 바람직하다’는 답은 25%에 불과했다. 민주당 지지자 중에선 70.8%가 신문·방송 겸영에 반대했으며, 한나라당을 선호하는 응답자들도 절반 이상인 51.8%가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이명박 정부의 종교 정책과 관련해선 부정적인 평가가 높았다. 응답자 중 64.2%가 이명박 정부가 특정 종교에 편향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답했으며, 편향적이지 않다는 의견은 27.3%에 그쳤다. 특히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 73%, 학생 69.4%가 ‘편향적’이라고 평가해, 블루칼라(59.6%), 자영업(59.3%), 농림수산업(56%) 종사자들보다 10%포인트 가량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시위 피해 구제를 위해 시민집단소송제를 도입하는 것도 반대 의견이 다소 우세했다. ‘의사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가 47%, ‘개인의 재산권을 보호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가 42%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달 올림픽기간 중 30%대로 진입했던 국정운영 지지율은 이번 조사에서 다시 23.5%로 주저앉았다. ‘촛불정국’이 시작되고나서부터 올림픽 이전까지 지지율이 20%초반 안팎을 드나들던 현상이 재연된 것이다. 한귀영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연구실장은 “올림픽특수 덕분에 반짝 올라갔던 지지율이 다시 내려앉은 것은, 강경책으로 보수층을 결집시키는 ‘집토끼 잡기 전략’만으론 지지율을 올리는 데 역부족이란 것을 보여준다”고 풀이했다.
정당 지지도에선 한나라당이 32.9%, 민주당이 15.9%, 민주노동당이 8%를 기록했다. 이명박 정부의 불안한 국정 리더십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은 여전히 민주당의 2배 가까운 지지율을 차지해 ‘부동의 1위’를 지켰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